국방부는 전날(22일) 저녁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협의체인 공동실무단의 운영에 관한 약정을 23일 오전 체결한다고 공지했다. 그러나 국방부 관계자는 약정 체결 예정시간을 한 시간여 앞두고 “오늘로 예정됐던 한·미 공동실무단 약정 체결이 1∼2일 연기됐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한·미간 엇박자는 아니고 내부적으로 조율 중인 상황”이라면서 “이번 주 중으로는 공동실무단 약정을 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초 국방부는 사드의 효용성을 강조하면서 한반도 배치에 적극적이었다. 하지만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미국행으로 제동이 걸린 모양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회동한다. 현재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 수위를 놓고 미·중 간 막바지 조율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양국 대표의 이번 만남은 사실상의 ‘최종 담판’ 성격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이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격렬히 반대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한·미 양국이 속도 조절에 나선 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공동실무단 약정 체결 연기는 미국 측이 먼저 제안하고 한국 측이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국방부가 “1~2일 후 공동실무단 약정 체결이 될 것”이라고 밝힌 것은 ‘희망사항’에 불과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 등과 보조를 맞추려면 예정했던 것보다 기간이 더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와 한·미동맹 차원의 사드 배치 문제는 별개의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공동실무단 약정 체결 연기가 왕 부장의 방미와는 무관하다는 의미다.
또 문 대변인은 사드 배치 논의가 미국 측의 요구에 의해 시작된 만큼 미국이 사드 배치를 철회할 경우 우리 정부 입장은 뭐냐는 질문에 “스스로 철회할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