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은 동아시아 지역에 대해 3km 간격으로 촘촘한 날씨예측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RDAPS-KIM을 지난 12일부터 정식 운영한다고 18일 밝혔다.
수치예보모델은 대기의 상태와 움직임을 슈퍼컴퓨터로 계산해 미래 날씨를 예측하는 소프트웨어다.
해상도가 높을 수록 국지적 집중호우나 정확한 강도 위치 예측이 가능해진다. 지난 2020년 4월부터 운영 중인 KIM 모델은 전지구 영역에 대해 12km 간격의 기상 예측 정보를 생산하고 있다.
고해상도의 ‘RDAPS-KIM 모델’은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해 3km 격자 간격으로, 작은 규모의 위험기상 예측이 가능한 상세 기상정보를 생산할 수 있다. 예컨대 제주도 육지 격자수가 기존 해상도에서는 12개였다면 한국형지역수치예보모델을 적용하면 206개로 확대된다. 지형물의 차이에 따른 기상 정보의 반영이 보다 세밀해지면서 국지성 집중호우 등에 대한 예측도 등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기상청은 “기상·기후 환경 변화를 우리나라 특성에 적합하게 반영해 국지성 집중호우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고, 자체기술로 전국에서 지역까지 수치예측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여름(7∼8월) 한반도 지역에 대해 평균적인 강수 예측정확도를 시험한 결과 기존 KIM보다 1일 예측에서는 19.1%, 3일 강수예측 성능은 약 9.5%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존 KIM에서는 3시간이던 예보 결과 산출 간격도 RDAPS-KIM에서는 1시간 간격으로 단축돼 보다 촘촘한 정보 제공이 가능해졌다.
기상청은 홍수, 산불 등 방재 관련 유관기관과 산업계에서 고해상 기상예측자료를 활용한 2차 기상정보 산출이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권영철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장은 “이번 한국형지역수치예보모델 현업 운영을 통해 더욱 상세한 날씨 정보 제공을 위한 기반을 확보했다”며 “기후변화 대응 기상 산업과 도심항공교통 및 자율주행차 등 미래기상산업 지원을 위해 1km 수준의 고해상도 날씨 정보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