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비에이션은 서비스 출시 후 수요 데이터를 확보해 김포∼잠실, 여의도∼세종시, 강남∼세종시 등 신규 노선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우선 헬기를 활용한 UAM으로 잠실∼인천공항 노선을 운영한다. 통상적으로 잠실에서 인천공항까지 차량으로 1시간 20분가량 걸리지만, 헬기 이용 시 20분 만에 갈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비에이션은 올해 잠실 한강공원에 위치한 헬기장 운영권을 인수했고 인천공항공사와 업무협약을 맺어 제1터미널 인근에 있는 헬리패드의 이용권을 획득했다. 빠르게 이동하고 싶은 이용자는 누구든 앱 예약을 통해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용 요금은 잠실에서 인천공항까지 1인당 편도 약 30만원으로 하루 4회가량의 왕복 운항을 계획하고 있다.
신 대표는 “헬기를 통해 운항 데이터를 쌓고 헬리패드 등 인프라를 먼저 확보할 것이다”며 “UAM이 상용화하는 미래 시대를 준비하고 UAM 시대를 열어가는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미국 등에서는 ‘블레이드’ 등 서비스를 통해 이미 대중적으로 헬기 사용이 보편화 돼 있어 UAM 시장에서도 관련 인프라를 고도화하는 방식으로 드론택시의 상용화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헬기 이송을 일부 계층만이 제한적으로 누리고 있어 다른 나라와 비교해 UAM 인프라를 구축할 때 뒤처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모건스탠리가 추산한 UAM 시장 규모는 2040년 1조 달러(한화 약 1400조원) 이상인데 이 시장 선점을 위해서라도 헬기 상용화가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이다.
신 대표는 “헬기의 내연기관을 전기로 바꾼 것이 수직이착륙기(e-VTOL)라고 할 수 있다”며 “테슬라가 내연기관을 바꾸고 전기차를 통해 자율주행차를 대중화한 것처럼 헬기도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전환할 것이라 본다”고 전망했다. 실제 미국 NASA에서는 UAM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우선 헬기 운항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헬기는 UAM 기체로 정의되는 e-VTOL과 수직이착륙 방식, 운항고도·루틴 등 흡사한 점이 많다는 설명이다. 그는 검증되지 않은 e-VTOL보다는 안전성을 검증받은 헬기로 멀티포트 등 관련 인프라를 테스트할 필요가 있다고도 주장했다. 모비에이션은 국토교통부가 2025년 국내 UAM 상용화를 위해 실증사업을 진행하는 ‘UAM 팀코리아’에 포함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신 대표는 “국토부 주관 UAM 팀코리아 안에 버티포트 개발 사업과 운항 감시 분야 두 개 분과에 들어가 있다”며 “산업 자체가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함께 시장을 키워나가는 파트너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부 차원의 제도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했다. 그는 “운항 루틴을 인천공항 외에도 다른 곳으로 늘려가고 싶다. 한강을 통해 가면 더 빠를 수 있는데 현재 관악산 아래쪽으로 돌아가야 하는 등 운행 제한 구역이 많다”며 “멋진 야경을 보는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싶지만 야간 비행도 제한하고 있어 이런 부분을 완화하길 하는 바람이 있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