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공개한 ‘결혼·출산 행태 변화와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의 독신율은 2015년 3.8%에서 빠르게 증가해 2020년 7.1%, 2025년 10.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
결혼 연령도 늦어지고 있다. 전체 여성 중 90% 이상이 결혼을 한 것으로 나타나는 기혼연령이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1990년 29세였던 기혼연령은 해마다 상승해 △1995년 30세 △2000년 32세 △2005년 36세 △2010년 39세에 이르고 있다.
여성들의 사회 지출이 늘며 결혼하지 않고도 사회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자 결혼은 꼭 해야 하는 일이 아닌 선택이 됐다. 특히 육아와 가사에 대한 부담이 여성의 결혼율을 낮추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통계청이 25~34세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결혼의 필요성에 대해 질문한 결과,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와 ‘하는 것이 좋다’라고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은 빠르게 감소했다. 25~39세 미혼 남성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응답 비율은 1998년 70%대에서 2014년 50%대로 낮아졌다.
미혼 여성의 결혼가치관의 긍정적인 정도는 미혼남성보다 낮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5~29세 미혼 여성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응답 비율이 1998년 50%대에서 2014년에 40%대로 낮아졌다. 30~34세 미혼 여성도 40%대에서 30%대로 떨어졌다.
보사연 관계자는 “결혼 이후 출산과 양육 등에 대한 책임 증가가 결혼에 대한 부정적 가치관 형성으로 이어져 결혼율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 있다”며 “비혼 등은 혼외출산 비율이 아주 낮은 한국 사회에서 출산 수준을 낮추는 보다 직접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