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운데 서울 강남구 아파트 전셋값은 44주 연속 상승을 멈추고 45주 만에 하락 전환했다.
|
수도권 아파트값도 전주 0.27%에서 이번 주 0.29%로 상승폭을 키웠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은 0.06%으로 전주와 동일했지만 인천이 전주 대비 0.1%포인트 오른 0.46%을 기록하며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을 끌어올렸다. 경기도 0.37%에서 0.38%로 상승폭을 확대했다.
서울에서는 송파구(0.08%)가 문정ㆍ방이동 구축 대단지 위주로, 서초구(0.07%)가 우면ㆍ방배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강남구(0.07%)가 압구정ㆍ개포동 등 주요 재건축 위주로 올랐다. 노원구(0.09%)는 중계동 구축 위주로, 도봉구(0.06%)는 쌍문ㆍ창동 대단지 위주로, 강북구(0.05%)는 미아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공급대책 기대감, 세부담, 금리 인상 우려 등으로 매수 문의가 줄어들고 관망세가 보였으나, 일부 지역 중저가 등이 상승하며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인천에서는 연수구(0.85%)가 교통개선(월판선 등) 기대감이 있는 청학·연수·동춘동 위주로 상승했다. 중구(0.54%)는 교통호재(제3연륙교)가 있는 운남·중산동 위주로, 부평구(0.45%)는 정비사업 기대감 있는 부개·부평·삼산동 위주로, 남동구(0.43%)는 교통환경 개선(GTX-B 및 제2경인선) 기대감 있는 서창·구월동 위주로 올랐다.
경기에서는 최근 LH 직원의 땅 투기 논란이 불거진 시흥이 부동산원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1.09% 급등했다. 3기 신도시 계획 발표에 따른 개발 기대감과 GTX 등 교통 개신 기대감 등이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외에도 GTX-C 기대감이 있는 안산시(0.92%)는 단원구가 0.96%, 상록구가 0.87% 올랐다.
지방에서는 5대광역시가 0.23%, 8개도가 0.16%, 세종이 0.19% 상승했다. 부산(0.20→0.21%), 광주(0.11→0.16%), 세종(0.16→0.19%) 등이 상승폭을 키웠으나, 대구(0.35→0.29%), 대전(0.35→0.32%) 등은 상승폭이 줄었다.
전국 전세가격은 0.14% 상승하며 전주 대비 상승폭을 축소했다. 수도권(0.14%→0.11%) 및 서울(0.05%→0.04%)은 상승폭을 줄였고, 지방(0.17%→0.17%)은 상승폭을 유지했다.
서울에서는 강남구(-0.02%)가 45주 만에, 송파구(-0.01%)가 50주 만에 하락 전환했다. 강동구(0.00%)도 보합 전환 등 대체로 매물이 누적되며 강남4구 전체가 보합(0.01%→0.00%)으로 전환됐다. 관악구(0.05%)는 신림·봉천동 역세권 위주로, 동작구(0.03%)는 노량진·신대방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전주 대비 상승폭은 축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