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발표 2년9개월 만에 합의 마무리
8일 인천공항공사와 민주노총 인천공항지역지부에 따르면 구본환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지난 2월28일 박대성 민주노총 인천공항지역지부장, 박후동(한국노총 소속) 인천공항통합노조 위원장, 장기호(한국노총 소속) 인천공항공사노조 위원장과 함께 정규직화 방안이 담긴 3기 노사전(노동자·사용자·전문가)협의회 합의문에 서명했다.
|
이로써 인천공항 정규직 전환 논의는 마무리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인천공항 정규직화 계획을 발표한 지 2년9개월 만이었다. 합의에 따라 공사는 별도직군으로 고용하는 소방대 등 241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정규직원 9544명을 올 6월까지 자회사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단순·일반 직무 노동자는 서류전형, 면접을 거쳐 전환하고 정부의 정규직화 계획이 발표된 2017년 5월12일 이후 입사한 전문직 노동자는 인성검사를 추가해 전환절차를 밟는다. 이들은 경쟁 없이 정규직으로 채용한다.
|
공사 직접고용 대상인 관리직 미만 노동자는 서류, 면접, 인성검사, 적격심사를 실시한다. 다만 2017년 5월12일 이후 입사한 관리직 미만 노동자는 공개경쟁채용 방식을 진행한다.
인천공항의 하청 용역업체에서 근무하던 9000여명의 비정규직원들은 이번 합의로 정규직 전환을 실현하게 됐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며 또다시 고용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공사가 공항운영을 축소했기 때문이다.
◇여행객 급감 ‘공항 운영’ 축소…노조 반발
공사는 지난달 26일부터 1차 비상운영에 돌입했다. 인천공항의 지난해 하루 평균 19만4000명이었던 여행객이 올 3월 코로나19 때문에 1만명 아래로 줄어들자 공사는 자구책으로 비상운영계획을 도입했다. 1차 비상운영을 통해 인천공항 제1터미널 출국장을 6개에서 2개로 축소했다. 또 1터미널 유인 체크인카운터를 326곳에서 98곳으로 줄이고 2터미널은 200곳에서 60곳으로 조정했다.
항공기 접현 주기장은 107곳에서 40곳으로 축소하고 수하물 처리시설(BHS)은 기존 이중화 운송라인을 단일라인으로 조정했다. 셔틀트레인 선로(1터미널~탑승동~2터미널 구간)도 2개에서 1개로 줄였다.
공사는 2단계 비상운영도 검토할 방침이다. 2단계는 1단계 때보다 축소 범위를 넓혀 일부 활주로 폐쇄, 탑승동 운영 중단 등을 포함한다. 지난 6일 인천공항 하루 여행객은 4581명으로 집계됐고 2단계 비상운영 기준(하루 여행객 3000~7000명)에 도달했다.
그러나 민주노총 인천공항지역지부는 공사가 일방적으로 비상운영을 추진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지부 관계자는 “공항 기능이 축소돼 일부 비정규직원, 자회사 노동자들의 일할 공간이 없어졌다”며 “일부 노동자들은 휴직 등이 강요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공사가 2단계 비상운영에 들어가면 노동자들의 고용불안이 더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앞서 지부는 지난 7일 인천공항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노조와 공사가 참여하는 협의기구를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또 인천공항에 상주하는 7만명의 항공관련 노동자의 해고금지와 영종도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요구했다. 지부 관계자는 “인천공항의 시설·운영 등의 업무를 하는 비정규직 9000여명의 정규직 전환이 합의됐지만 현재 웃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정규직으로 전환돼도 또다시 고용위기가 올 수 있어 노심초사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천공항지역지부는 9000여명(정규직 전환 대상자)의 고용만 중요하게 보는 것이 아니라 해고 위기에 있는 면세점·조업사 직원 등 상주직원 7만명의 고용문제를 함께 생각하고 있다”며 “이들과 연대해 위기를 극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공사 관계자는 “인천공항 여행객이 급감해 1단계 비상운영을 시행했다”며 “2단계 비상운영은 국토교통부 등과 협의해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상운영은 공항 기능만 축소하는 것이지 인력을 줄이는 것이 아니다”며 “현재까지 자회사나 용역업체의 인력 감축을 검토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