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회생법원은 26일 오후 서울법원종합청사에서 쌍용차 회생계획안 심리와 결의를 위한 관계인집회를 열고 채권자와 주주들의 표결을 거친 결과 회생계획안의 가결을 선언했다. 쌍용차는 회생담보권자 100%, 회생채권자 95.04%, 출석한 주주 100% 등의 회생계획안 인가 동의를 얻었다. 관계인집회 통과 요건은 회생담보권자의 4분의 3, 회생채권자의 3분의 2, 의결권을 행사하는 주주의 2분의 1 이상의 동의였다. 법원은 이날 회생계획안 최종 인가 결정도 내렸다.
쌍용차는 한때 코란도·무쏘 등 정통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명가로 이름을 날렸다. 하지만 지금까지 4번이나 주인이 바뀌고 경영난에 기업 회생절차도 두번이나 밟아야 했다.
쌍용차의 전신은 1954년에 설립된 하동환자동차제작소다. 고(故) 하동환 전 환원그룹 명예회장은 서울의 드럼통 버스왕으로 불리던 자동차 기술자다. 하동환자동차제작소는 1967년 신진자동차와 업무제휴를 맺고 1974년 신진지프자동차공업을 합작 설립했다. 같은 해 10월 신진지프자동차공업은 하드탑과 소프트탑, 픽업 등 다양한 신진지프 차량을 선보였다. 신진지프는 훗날 코란도의 전신이다. 신진지프자동차공업은 1977년 동아자동차로 상호를 변경했다.
이후 건설이 주력 사업인 쌍용그룹이 1986년 11월 하동환 전 명예회장의 지분을 전량 인수하면서 현재 사명인 ‘쌍용자동차’로 변경됐다. 쌍용차는 코란도 훼미리, 무쏘 등이 성공하면서 국내 정통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다만 쌍용차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견디지 못하고 1998년 대우그룹에 매각됐다.
하지만 대우그룹이 외환위기로 무너지면서 1999년 다시 채권단으로 경영권이 넘어갔다. 쌍용차는 2000년 대우그룹 계열에서 완전히 분리됐고 2005년 중국상하이자동차라는 새주인을 맞는다. 하지만 상하이자동차가 인수 당시 약속했던 투자를 이행하지 않은데다 기술 유출 논란까지 일었다. 상하이자동차가 인수 후 출시한 차량들도 모두 실패하면서 쌍용차는 2009년 기업 회생절차에 돌입했다
쌍용차는 회생절차 진행 중에 총 직원의 약 36%인 2646명을 정리해고했다. 이에 반발한 쌍용차 노동조합은 77일 동안 평택 차량 생산 공장을 점거하며 일명 옥쇄 파업을 벌였다. 경찰이 이를 강제 진압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다음 해인 2010년 쌍용차는 인도 마힌드라그룹으로 다시 매각됐다. 법원은 2011년 쌍용차에 대한 회생절차 종결 결정을 내리면서 쌍용차는 26개월여만에 첫번째 회생절차를 졸업했다.
◇2020년 12월 두번째 기업회생 신청
쌍용차는 2015년 출시한 소형 SUV 티볼리가 흥행하면서 경영 정상화를 이루는 듯 했지만 소형 SUV시장과 함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판매가 감소했다. 쌍용차는 2015년 1분기부터 적자를 기록하면서 쌍용차는 2020년 12월 두번째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다음 해인 2021년 1월 마힌드라그룹이 경영권 포기를 선언했고 같은 해 4월 쌍용차는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했다. 쌍용차는 올해 1월 에디슨모터스와 인수 본계약을 체결했지만 에디슨모터스가 기한 내 인수 대금을 내지 못하면서 지난 3월 계약이 해제됐다.
쌍용차는 재매각을 실시했고 KG그룹이 최종 인수 예정자로 선정됐다. KG그룹은 지난 19일 인수대금을 완납했고 26일 관계인집회에서 법원이 회생계획안을 최종 인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