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기준금리 2번 더 인상…고용악화는 재정으로 대응"(종합)

이정훈 기자I 2018.07.12 13:14:46

권영선 "美연준 내년까지 4번, 한은 2번 더 금리 인상"
"원달러환율 3분기에 1150원 찍고 연말 1110원 하락"
"무역분쟁 직접 영향 크지 않지만 파급효과는 우려"
"최저임금 인상에 고용 악화 우려…재정역할 중요해"

권영선 선임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역전에도 불구하고 대외자본이 대규모로 한국시장을 빠져나갈 걱정은 없다고 일본계 투자은행인 노무라가 전망했다. 또 미 달러화가 3분기에 정점을 찍을 때까지 강세를 유지하겠지만 이로 인한 원화 약세는 한국 경제가 신흥국 불안 충격을 완화하는데 보탬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권영선 노무라인터내셔널 홍콩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12일 서울 종로구 타워8에서 진행한 미디어 브리핑에서 “글로벌 경기가 둔화되는 국면에 와 있지만 미 연준은 지속적으로 통화정책 정상화를 진행할 것”이라며 “경기후행지표인 고용지표가 좋고 인플레이션이 올라오고 있어 내년말까지 3.0%로 4차례 더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점쳤다. 또 “최근 국내 경기가 다소 둔화되고 있지만 그동안 누적적인 회복 수준을 감안하면 한국은행도 완만한 금리 정상화를 이어갈 것”이라면서도 “다만 미국에 비해 인플레 압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올 11월에 1번, 내년에 1번 더 금리를 인상해 2.0%까지 올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같은 전망대로 라면 미국과 한국간 기준금리는 1.0%포인트의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셈. 이에 대해 권 이코노미스트는 “이는 두 나라간 펀더멘털 차이를 반영한 적정 수준”이라고 평가한 뒤 “이로 인해 외자가 유출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부분 채권 투자는 해외에서 스왑으로 헤지를 하고 있으며 고금리 달러를 빌려주고 저금리 한국 채권에 투자할 있는 재정거래가 가능할 수 있다”며 “여러 요인들로 인해 미국 금리가 더 높다고 국내에서 자금이 일방적으로 빠져나간다고 볼 순 없다”고 덧붙였다. 특히 한국은 경제 펀더멘털이나 재정상태, 국가 신용도 등이 신흥국 가운데 상대적으로 양호해 이런 우려는 현실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최근 이어지고 있는 달러화 강세에 대해서는 “3분기가 신흥국 리스크가 가장 커지는 구간이고 무역분쟁 관련 부정적 뉴스도 나오고 있어 달러화 가치가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권 이코노미스트는 “11월 미국 중간선거 이후부터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막바지를 향해 갈 수 있고 이 즈음부터 다른 선진국 중앙은행들의 기준금리 정상화 기대감이 다시 살아날 수 있어 달러가 약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달러 환율도 단기적으로 1150원까지 더 높아진 뒤 연말에는 1110원 수준까지 다시 내려오고 내년에는 평균 1060원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글로벌 경제 성장률이 올해 4.0%를 기록한 뒤 내년에는 3.7%로 둔화될 것이라고 점친 권 이코노미스트는 이에 따라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올해 3.0%, 내년 2.7%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봤다. 한국 경제에 대해서도 “수출 증가율은 작년 9월 최고점으로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플러스를 기록하며 양호한 편”이라며 “최근 GDP와 달리 산업생산 지표가 둔화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총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으로부터 촉발된 무역분쟁에 대해서는 “보복관세에 따른 직접적 영향은 크지 않다”며 “관세가 높아지면 소비자 잉여가 감소하는 대신 정부 잉여가 늘어나기 때문에 GDP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에 따른 불확실성이나 금융시장 충격이 장기화되면 마이너스 부의 효과로 소비가 위축되는 등 성장 악화 우려가 커질 수는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주가가 하락할 경우 코스피지수와 상관관계가 높은 소비자신뢰지수가 하락하면서 소비경기가 위축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국가들까지 무역분쟁이 동참하고 그로 인해 비관세 보복조치 등이 생겨날 경우 경제 전체의 총수요를 위축시킬 수도 있다고 우려했지만 아직은 그 영향을 좀더 지켜봐야 한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권 이코노미스트는 또 최저임금 인상 등 문재인 정부 정책에 대해 “전반적으로 단위 노동당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겠지만 자영업 등에서의 구조조정을 촉발해 절대적인 취업자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를 상쇄시키기 위한 재정에서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