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제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장은 13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2회 ‘환태평양 지속가능 대화(TPSD)’ 포럼에서 “에너지 안보를 위해선 재생에너지냐 원자력이냐를 택일하는 것보단 기술 중립이란 가치 아래 활용 가능한 모든 수단을 다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에너지와 관련한 핵심 공급망 수급 위기가 커지는 가운데 즉각적이고 신속한 탄소중립을 요구받는 중”이라며 “현 에너지가격을 유지한 가운데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와 함께 원전과 수소, CCS 등 모든 수단을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
임 부사장은 “LNG 역시 화석연료이기는 하지만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브리지(과도기적) 에너지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오히려 커지는 중”이라며 “가스공사는 천연가스를 액화할 때 가스 대신 친환경 전기를 사용하는 방식을 도입하거나 국내외 친환경 사업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권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당장의 탄소 배출 저감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장기적으론 LNG 활용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를 포집해 활용·저장(CCUS)하거나 청정수소의 활용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인 철강, 조선, 반도체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어렵지만, 우리 인류에 꼭 필요한 재화를 생산하는 만큼 국제적인 협의를 통해 이들 산업의 탄소배출 부담을 국제사회와 분담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석탄 산업은 (다른 무탄소 에너지에 밀려) 국제 경쟁력이 줄어들고 있는 좌초산업이지만 철강이나 조선, 반도체 등 필수재는 우리가 만들지 않는다고 끝날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를 어떻게 해결할지를 두고 많은 국제 협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선진국은 현 기후위기의 책임을 중국·인도 등 개발도상국의 급격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돌리지만, 산업혁명 이후 누적한 온실가스는 선진국 비중이 더 크다”며 “누구 책임이냐를 따지기 이전에 현 기후위기에 대한 대응을 인류 공동 책임으로 보고 국제 협력을 통해 이를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몽골 출신의 오윤 산자수렌 녹색기후기금(GCC) 사무국장도 개도국 입장에서 현 에너지 위기에 대응한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론 여전히 많은 사람이 전기를 쓰지 못하고 전체 에너지의 70%를 화석 에너지에 의존하고 있다”며 “선진국 중심의 투자가 개도국에 이뤄져야 전 세계적인 2050년 탄소중립 목표도 달성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