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암참, 한미 에너지 협력 포럼…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독려

김형욱 기자I 2025.04.10 14:51:21

美에너지부 고위급 에너지정책 발표
알래스카 주지사도 영상 축사로 참여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일본에 대한 관세 압력과 함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 참여를 요청한 가운데, 주한 미국상공회의소(암참)가 오는 18일 한·미 에너지 협력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안덕근(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주 주지사가 지난 3월25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면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10일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에 따르면 암참은 오는 18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에너지 혁신 포럼을 연다. 주제는 한·미 에너지 산업, 새로운 협력의 시대다.

한국 정부·기업의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자리로 풀이된다. 이 사업 추진 주체인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도 영상 축사자로 참여한다. 또 미국 에너지부 관계자도 자국 에너지 정책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던리비 주지사는 지난달 25~26일 직접 한국을 찾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안덕근 산업부 장관 등 정부 주요인사와 기업 관계자들을 만나 사업 참여를 독려한 바 있다. 안덕근 장관도 이날 행사에 참석한다.

알래스카 LNG 사업은 알래스카 북부 가스전의 천연가스를 1300㎞ 길이의 가스관으로 남부 항구로 끌어와 액화한 후 판매하는 사업이다. 알래스카 주가 액손모빌과 함께 2012년 시작했다. 당시엔 450억달러(약 64조원)의 막대한 추산 사업비용과 여러 불확실성 탓에 진척이 없다가 올 1월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한·일 양국을 참여시킨 형태로 다시 추진되고 있다.

알래스카의 한 유전 모습. (사진=코코노필립스 알래스카 홈페이지)
한국 정부 업계는 참여 여부를 고심 중이다. 사업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지만, 미국이 한국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채 7월까지 3개월 유예된 만큼, 이 사업 참여 여부가 주요한 협상 카드가 될 수 있다. 이 사업 참여 때 건설사업 참여와 철강 등 공급, LNG 운반선 수요 확대 등 부수적인 이익도 기대할 수 있다.

던리비 주지사는 지난달 방한 때 “알래스카산 LNG 구매 합의는 한미 무역 불균형 문제와 관세 이슈와 이어져 있다”며 “합의를 해야 다른 여러 사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대행 역시 지난 8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첫 통화에서 조선과 LNG, 무역균형 3대 분야에 대한 높은 협력 의지를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한 대행과의 통화 직후 트루스소셜 본인 계정을 통해 알래스카 LNG 사업 합작투자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