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대변인은 “한국형 뉴딜은 민간·금융·대기업 중심으로 흘러간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며 “대통령의 연설에서 드러난 한국형 뉴딜의 면면은 대기업만이 할 수 있는 성격의 사업들이 중심이며 대체로 사회간접자본 확충이라는 형태를 띠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이 제안한 지역균형발전에 대해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으면서도 실체가 불분명한 한국형 뉴딜로 해결한다는 것은 납득하기가 어렵다”며 “지역균형 뉴딜은 예산안 어디서도 보지 못한 것으로 시정연설용으로 급조된 것“이 아니냐 의심했다.
문 대통령이 555조 8000억 원의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기조를 밝히며 재정건전성을 언급한 것도 비판했다. 사회안전망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결여되어 있다며 과감한 재정을 요구한 것이다. 정 대변인은 “경제적 위기 국면에서 적절하지 않다”며 “정부의 역할, 재정의 역할을 어떻게 확대 강화할 것인지 답을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후위기에 대한 문제의식이 없었던 것도 언급했다. 정 대변인은 “코로나19 확산은 언젠가 멈출 것이나 지속될 위기인 기후 위기에 대한 대통령의 문제의식은 빈약하다”며 “기후 위기는 한국형 뉴딜의 한 부분으로 언급될 문제가 아니며 당면한 가장 큰 문제로 간주하고 모든 대책의 중심에 서야 한다”고 인식의 전환을 촉구했다.
정의당은 이 밖에 더불어민주당에서 탈당한 이상직 의원과 연루됐다는 의혹이 있는 이스타항공 대량해고 문제와 산재로 인한 노동자 사망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정부의 역할을 촉구했다. 정 대변인은 “두더지잡기 하는 식의 사후적 조치로는 한계가 분명하다”며 산업재해발생시 최고책임자를 처벌하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요구했다.
이어 문 대통령이 강조한 협치에 대해 “공수처 출범과 특검 문제가 맞물려 국회가 또 한 번 아수라장이 될 것임을 예고했다”며 “물러설 수 없는 개혁과제가 있음은 분명하나 일방적인 독주는 개혁의 명분을 후퇴시킬 것”이라며 여권의 오만함을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