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과학기술교육분과는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에 대응해 메모리 반도체에서의 기술 격차를 유지하면서도 파운드리·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반도체 기술경쟁력 강화’를 새 정부의 중점 과제로 검토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
인수위 과학기술교육분과는 최근 반도체 초미세화 공정기술 한계를 돌파하려는 차세대 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중장기 반도체 기술 로드맵 수립 △인공지능(AI)과 PIM(Processing in Memory)을 비롯한 차세대 반도체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전략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인수위 과학기술교육분과는 최근 진행한 반도체 연구자 간담회에서 산·학·연 협력 약화와 취약한 반도체 개발·실증 인프라 서비스, 반도체 전문 연구실에 대한 장기 지원 부족 등을 문제로 꼽았다.
우선 인수위는 반도체 연구개발 관련해 국내 대기업을 포함한 산업계(개발 연구)와 대학(기초·원천 연구)·연구소(응용 연구) 간 상시 협력 플랫폼 조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미래 반도체 기술 공동 연구 △반도체 연구 성과와 시험·검증 △반도체 인력 양성과 기업 퇴직 인력 활용 등 기업·연구계 공동 관심 사항을 협의해 추진할 방침이다.
전국에 흩어져있는 대학과 공공 팹의 시설과 기능을 고도화하고 대학·공공 팹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해 산·학·연 협력을 촉진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역량을 지닌 대학이나 공공 연구기관의 연구실을 선정해 장기간 지원함으로써 기술·인력 토대도 마련한다.
아울러 인수위는 반도체 연구개발(R&D) 확대와 안정적 지원으로 대학 연구실 기반 연구 역량을 체계적으로 전문적으로 함양한 석·박사급 고급 인력을 양성하는 동시에 산업계 퇴직인력을 활용한 대학 실무교육과 비전공자 전공 전환 교육을 확대해 실무인력도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김기흥 인수위 부대변인은 “연구 현장에선 기초 연구와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 데 국가가 장기 계획을 갖고 인력과 예산을 투입하길 바랐다”며 “인수위 경제2분과는 반도체 업계의 고질적 문제인 인력 부족을 해결하고자 주요 분야별 반도체 대학원 지정 등을 인력 양성 방안으로 제시한 것과는 결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인수위는 남은 인수위 기간 새 정부가 실천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추가로 발굴하고자 반도체 산업계·연구계와의 정책 간담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