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통신은 12일(현지시간) 스탠다드차타드은행 자료를 인용해 중국을 제외한 한국, 인도, 태국 등 주요 아시아 국가의 외환 보유액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로 감소했다고 전했다.
한국의 외환 보유액은 올해 들어 270억달러(약 37조원) 줄었으며, 인도는 810억달러(약 111조원) 태국은 320억달러(약 44조원) 감소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도 각각 130억달러(약 18조원), 90억달러(약 12조원) 외환보유액이 줄었다.
이들 국가의 외환 보유액은 평균적으로 7개월치 대외 결제가 가능한 수준이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2020년 8월(16개월치), 올해 초(10개월치)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한국의 외환 보유액이 7개월치, 인도와 필리핀은 각각 9개월치와 8개월치 대외결제가 가능한 규모다. 인도네시아의 외환 보유액으로는 6개월밖에 버티지 못한다.
아시아 국가들의 외환 보유액 감소는 강(强)달러 때문이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과 경기 침체 우려 속에 달러화가 강세를 지속하면서 각국 중앙은행이 자국 통화 가치를 방어하기 위해 달러를 내다 팔았기 때문이다.
강달러로 아시아 신흥국들이 보유한 달러 외 다른 외환의 가치 하락하면서 이들 국가의 외환보유액이 감소한 측면도 있다.
스탠다드차타드의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남아시아 환율 분석 책임자인 디브야 데베시는 “아시아 신흥국들의 외환 보유액 감소는 이들 국가 중앙은행의 환율 방어를 위한 시장개입이 앞으로 훨씬 더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자국 통화 가치 방어를 위한 당국의 시장 개입이 제한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아시아 각국의 통화 가치는 더 하락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7일 1380원을 돌파하며 2009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달러대비 환율 상승은 해당 통화의 가치 하락을 의미한다.
데베시 책임자는 아시아 국가의 수출 부진이 이어지면 각국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 억제에서 수출 경쟁력 강화로 전환하면서 달러 매각 대신 매입으로 방향을 바꿀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