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장관은 이날 서울 외교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2월 베이징동계올림픽 계기에 남북·남북중 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을 묻자 이같이 답했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베이징 올림픽을 남북 정상회담의 계기로 삼겠다고 한 적은 없다. 그러나 북한이 대화의 문을 굳게 닫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올림픽 등을 다양한 계기를 통해 북한과의 접촉을 모색하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동력을 되살리기를 희망해 왔다.
상황은 정부의 희망과 다르게 돌아갔다. 지난 7월 도쿄올림픽의 돌연 불참으로 북한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자격 정지 징계를 받았다. 선수들이 북한 대표가 아닌 개인 자격으로 참석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오미크론 등 변이 바이러스 출현하면서 가능성은 더욱 낮아졌다. 한국정부 또한 미국 등이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에 나서면서 고위급 인사의 참석에 부담이 있는 상황이다.
정 장관은 “끝까지 희망을 버리지 않고 모든 계기를 이용해서 남북 관계 개선 또는 한반도평화프로세스 조기 재가동을 위해 정부는 최선의 노력을 다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대북 대화 재개방안으로 추진해온 종전선언을 매개로 북한과의 협의를 이어나가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그는 종전선언에 대해 “한미 간에 이미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공감을 하고 있고, 문안에 관해서도 이미 사실상 합의가 돼 있는 상태”라며 “북한과의 협의를 어떻게 진전시켜야 할지 여러가지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종전선언 문안과 관련해 북한과 공유됐느냐는 질문에는 “세부적 내용은 현 단계에서는 대외적으로 공유하기가 어렵다”며 즉답하지 않았고, 중국을 통해서 북한의 입장을 전달받은 것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종전선언 제안에 대해서 북한은 일련의 신속한, 그리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왔지만 좀 더 구체적인 반응이 있기를 저희가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장관이 말한 ‘북한의 신속하고 긍정적 반응’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9월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그 자리에서 남북 통신선 복원을 선언했으나 동시에 종전선언의 선결 조건으로 “이중적인 태도, 적대시 관점과 정책 철회”를 “불변한 요구”로 제시했다.
결국 공은 북으로 넘어간 가운데, 28일부터 김 위원장 주재로 열리는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어떤 대남·대미 메시지가 나올지가 관심사다. 정 장관이 “북한이 어떻게 어떠한 방식으로 우리에 대한 대외적인 메시지를 보낼 것이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연초까지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