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정부는 이같은 내용의 ‘청년고용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코로나19로 신규채용이 감소하고 대면 서비스업이 침체되면서 청년 일자리 여건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정책 역량을 동원해 청년 고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했다. 지난해 기준 청년 취업자수는 376만 3000명으로 전년 대비 18만 3000명이 감소했고, 체감 실업률(25.1%)도 전년 대비 2.2%p 증가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올해 총 5조 9000억원을 투입해 104만명 이상의 청년에게 취·창업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민간 기업이 보다 많은 청년을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이에 기업이 콘텐츠 기획, 빅데이터 등 디지털 직무에 청년을 채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일자리 사업’ 인원을 5만명에서 11만명으로 확대한다. 이 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이 IT 활용 가능한 직무에 청년을 채용할 경우 6개월간 최대 180만원의 인건비 지원하는 사업이다.
또 중소기업의 청년 신규채용을 유도하기 위해 특별고용촉진장려금 전체 5만명 중 2만명을 청년층에 우선 지원하고, 청년고용 친화형 R&D 3종 패키지의 적용기간 연장도 검토할 방침이다. 패키지에는 △R&D 정부지원금 4~5억원당 청년 1명 채용의무화 △청년추가채용시 인건비 민간매칭자금으로 인정 △청년신규채용시 2년간 지급 인건비의 일부 기술료 감면 등이 포함됐다.
청년 고용 소상공인 1만 6000명에게 청년고용특별자금도 지원하고, 청년 고용유지할 때 대출 이후 1년간 금리를 우대 지원할 계획이다. 또 디지털·비대면, 바이오, 문화·체육·관광 등 새로운 분야에서 전문인력 1만 8000명이 채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청년 창업 지원도 확대한다. 비대면 분야 유망 창업기업 발굴 및 지원을 확대하고, 구글플레이,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과 협업해 청년 창업기업의 해외시장 진입도 지원한다. 또 청년 스타트업이 경영안정을 이루고 도약할 수 있도록 성장단계별 지원을 강화하고 시스템 반도체, 환경 등 분야별 창업도 촉진할 방침이다.
공공부문에서도 청년 일자리를 확대한다. 공공기관의 청년고용의무제를 오는 2023년까지 연장하기 위해 연내 ‘청년고용촉진 특별법’을 개정한다. ‘공공분야 체험형 일자리’ 2만 2000명 중 4200명을 1분기 내로 신속 채용하고, 디지털·그린, 생활방역·안전 일자리 등의 분야에서도 청년 직접일자리 2만 8000개를 만들 방침이다.
|
청년이 스스로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도 강화한다. 디지털?신기술 분야 스타트업 기업이 직접 설계하는 맞춤형 디지털 훈련을 신설해 3000명 규모의 인문계·비IT 전공 청년들을 중심으로 제공한다. 그린뉴딜을 이끌어갈 저탄소·그린 분야 등의 기업이 참여하는 맞춤형 훈련도 실시할 방침이다. 또 직업훈련에 참여한 청년들에게 디지털 초?중급, 인문소양 교육 등을 지원하기 위해 50만원을 지급하는 K-Digital Credit도 4만명에서 8만명으로 확대한다.
또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항공·관광 업계 종사 청년 △관련 학과 졸업(예정)자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맞춤형 훈련을 제공하고, 청년이 선호하는 훈련과정을 지역·시간에 상관없이 누구나 수강할 수 있도록 비대면 방식의 실업자 훈련을 도입한다. 삼성 SSAFY 등 청년들의 호응이 높은 기업주도 훈련이 보다 확산될 수 있도록 기업들과 MOU 체결, 컨퍼런스 개최 등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또 청년들이 취업에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쉽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인프라도 강화한다. 전국 108개 대학일자리센터의 기능을 개편해 지원대상을 재학생에서 졸업생까지 확대하고, 인문계 전공자 등에 대한 취업지원을 확대한다. 온라인 청년센터가 청년들의 정보플랫폼이 되도록 취업정보, 심층상담 등을 통합해 상시적으로 제공한다. 성장유망 분야 벤처·스타트업 기업과 청년 간 매칭 강화를 위해 벤처·스타트업이 참여하는 채용설명회도 활성화할 방침이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특례도 확대…구직단념청년도 발굴
구직에 애로가 있는 청년에게 필요한 맞춤형 고용지원을 확충한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특례를 5만명 확대해 구직활동에서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취업 가능성을 높인다. 청년특례는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와 최대 300만원의 구직촉진수당 제공한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일경험 프로그램도 청년층에 1만명 확대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취업연계가 가능한 민간기업 등에서 3개월 동안 직무수행 중심의 일경험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노동시장 밖 청년들에 대한 지원의 사각지대도 해소한다. 먼저 지자체 청년센터를 주축으로 구직단념청년을 발굴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해 국민취업지원제도와 연계한 종합 고용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직이 장기화되거나 경제활동을 포기하기 전에 청년들에게 조기개입해 고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부의 학교 졸업생 정보를 연계·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일자리 창출의 기본은 투자, 혁신, 성장인 만큼 ‘한국판 뉴딜’ 등을 통한 빠르고 강한 경제회복 및 일자리 창출을 추진하고, 규제발굴 및 완화도 지속해 일자리 창출의 동력을 강화하겠다”며 “일자리 창출 여력이 있는 기업들은 청년 일자리를 하나라도 더 만들어서 사회적 연대와 나눔을 실천해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