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정부가 집권 이후 처음 발표한 장기재정계획인 ‘2022~2026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내년 지출은 올해보다 약 4.9% 증가한 669조7000억원으로 책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후에도 재정건전성을 위해 지출 증가율을 지속적으로 낮춰 2025년은 699조2000억원(4.4%), 2026년 728조6000억원(4.2%)으로 책정할 예정이다.
다만 이같은 계획은 정부가 올해 625조7000억원의 세수를 걷고, 이후 4%대 증가율을 유지해 2026년에는 재정수입이 700조 돌파(715조 2000억원)하는 걸 예상하고 짠 것이다. 목표한 재정수입이 있어야 재정건전성을 위한 나라살림 적자(관리재정수지) 규모를 2023~2026년까지 매년 50조원대(GDP 대비 -2%대)로 유지하면서 목표한 지출을 할 수 있다.
문제는 세수상황이다. 올해 세수는 5월까지 국세수입이 36조4000억원 덜 걷히면서 사실상 예상 세입(625조7000억원)보다 최소 40조원의 결손이 예상된다. 내년 세수 역시 기업의 수출 부진 등으로 크게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 중론이다. 글로벌 투자은행(IB)인 씨티는 최근 보고서에서 “법인세수 징수 시차가 1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ICT 기업의 실적 악화가 내년 법인세수를 대폭 감소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
김우철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교수는 “내년 세수전망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량지출을 최소화하는 등 지출을 최대한 묶어두는 수밖에 없다”며 “지출을 올해보다 줄이는 것은 정말 어렵겠지만 0%대로 묶어두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10년래 총지출 증가율(결산기준)이 가장 낮았던 해는 2014년(3.0%)이었다.
내년 지출 조정에는 정부가 이르면 8월말 발표한다고 예고한 세수재추계 결과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올해 세수재추계 전망치가 낮다면 이를 바탕으로 설정하는 내년 세수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결국 세수재추계가 올해 예산뿐 아니라, 내년 지출 규모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내년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총지출을 전년보다 축소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의견도 있다. 박상원 한국외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정부가 의지가 있다면 지출을 감소시킬 수도 있지만, 내년 선거 등을 고려할 때 의지만으로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필수적으로 늘어나는 지출이 있는데, 내년 예산이 올해보다 줄어들긴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