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체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서울 영등포, 용산, 중구, 종로, 동대문 등 노숙인 시설이 밀집한 곳에서 발생한 홈리스 감염 확진자는 150명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 1월 발생한 서울역 노숙인 시설 발(發) 집단 확진자 100여명을 웃도는 수치다. 단체는 “발생 거점이 여러 지역에 걸쳐 있고, 주거 형태도 다원적이고 동시다발적”이라고 우려했다.
단체는 현재 홈리스 감염환자는 병원 입원과 생활치료센터 입소는 커녕 통상 일주일에 이르도록 자가격리가 불가능한 쪽방과 고시원 등지에 방치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심한 경우에는 화장실도 없거나 편의시설이 불편한 컨테이너에 격리되기도 한다. 단체는 “지난 1월 집단 감염 교훈에도 서울시의 대응은 더욱 더뎠고 임시 주거지원 확대와 대체숙소 제공 등 인권위의 권고도 무시했다”고 비판했다.
특히 단체는 홈리스에게 재택치료와 자가격리는 허울뿐인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최봉명 돈의동주민협동회 간사는 “재택치료를 하라고 하지만, 일부 쪽방 임대인은 코로나 유사 증상이 있다는 이유로 홈리스를 퇴거시키거나 방을 폐쇄하고, 병원에서는 병상이 없다고 받아주지 않는다”며 “돈의동 쪽방촌에서는 거리에서 시간을 낭비하다가 확진 7일 만에 시설로 입소한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
감염된 홈리스를 방치하는 것은 더 큰 감염 확산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내과의로 의료현장에서 코로나19 환자들을 돌보고 있는 이보라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공동대표는 “코로나 확진 2~3일 전에 증상이 피크를 찍고 10~11일 이후에는 전파력이 떨어진다”며 “전파력이 높은 시기에 환기도 되지 않고 창문도 없는 쪽방촌에 있다가 병원에 이송되는 실정이라 대규모 감염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백신접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아프리카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발생했다”며 “코로나 바이러스는 가장 취약한 이들을 돌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준다”고 취약 거처에 방치된 홈리스에 대한 이송과 치료대책 마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