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개 중앙부처가 진행하는 일자리사업 중 규모가 가장 큰 사업은 보건복지부의 장애인 일자리 사업이다. 고용부는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등을 통해 여성인력 유입을 유도하고 있다. 이처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중앙정부 일자리 사업 비용을 조기에 집행하는 것은 지난해 보인 고용상황 호조세를 올해도 이어갈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는 의도다. 올해 취업자 증가폭이 둔화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취약층이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을 수 있어 신속한 지원에 나선다는 취지도 있다.
‘빈일자리 해소 방안’도 추가로 내놓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빈일자리 해소 방안은 산업현장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정부가 추진한 대책이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32만7000명(1.2%) 늘었지만, △제조업(-4만3000명) △도소매업(-3만7000명) △부동산업(-1만8000명) △건설업(-9000명) 등 업종에선 감소했다. 정부는 지난해 3월 조선 등 6개 업종, 7월엔 해운·수산 등 4개 업종을 대상으로 빈일자리 해소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고용부 관계자는 “고용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한 후 필요시 관계부처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성희 차관은 올해 일자리 사업 목표로 미래세대를 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내걸었다. 이를 위해 청년과 여성, 중장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원·하청 격차 완화를 위해 ‘조선업 상생협약’ 모델 확산을 지원하겠다고도 했다. 재택근무, 시차 출퇴근제 등 다양한 근무형태가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도 강화한다. 이 차관은 “미래 성장과 지속가능한 민간 일자리 창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투자를 강화하겠다”며 “특히 취약계층의 소득안정을 위한 일자리 사업이 조기 집행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