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논 한 마지기 일궈 30만원도 못 번다"…암울한 상황

강신우 기자I 2025.03.28 12:00:00

생산비 오르고 산지 쌀값 뚝…농가 순수익 24.3%↓
통계청, 2024년산 논벼 생산비조사 결과
논벼 생산비 0.8%↑, 산지 쌀값 8.9%↓
순수익 27만1000원, 전년比 8만7000원↓
순수익률 23.5%…“22년 이후 감소추세”

[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지난해 벼농사를 짓는 데 드는 비용이 늘어난데다 산지 쌀 가격은 하락하면서 농가의 순수익이 1년 전 보다 24%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ChatGPT)
통계청은 28일 ‘2024년산 논벼(쌀) 생산비조사 결과’를 통해 지난해 농지 10a(1000㎡)당 논벼 생산비는 88만 2000원으로 전년대비 7000원(0.8%) 증가했다고 밝혔다. 20kg당 쌀 생산비는 전년대비 845원(2.6%) 증가한 3만 3000원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10a당 논벼 생산비가 0.8% 증가했고 벼 낟알이 익는 시기(등숙기) 집중호우와 고온으로 병충해 등 피해가 증가해 쌀 생산량은 -1.7% 감소하면서 쌀 생산비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논벼 생산비 중에서는 직접생산비는 위탁영농비(4.7%), 종묘비(12.1%) 상승 등의 영향으로 2.0% 늘었고, 간접생산비는 토지용역비(-3.0%) 하락으로 1.7% 감소했다.

재배 규모별로 보면 직접 생산비는 대규모 농가일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재배규모가 큰 농가는 영농 기계화 등으로 직접생산비 투입 물량(종묘비, 노동비, 위탁영농비 등)이 낮기 때문이다. 그러나 간접생산비는 큰 농가일수록 높아진다. 대규모 우량농지를 확보하기 위한 연간 지불 임차료가 높아서다.

생산비 상승에 산지 쌀값이 떨어지자 10a당 총수입은 115만 3000원으로 전년대비 8만원(-6.5%) 줄었다. 산지 쌀값(20kg, 4분기)은 2023년 5만 699원에서 작년 4만 6175원으로 8.9%나 떨어졌다. 이에 농가가 벌어들인 수입 중에서 비용을 제외하고 실제 남은 돈의 비율인 소득률은 49.6%로 전년대비 3.5%p(포인트) 감소했다.

10a당 순수익은 27만 1000원으로 전년대비 8만 7000원(-24.3%) 감소했고 순수익률은 23.5%로 전년대비 5.5%p(포인트) 줄었다. 연도별로 보면 최근 5년간(2019~2024년) 10a당 산지 쌀 가격은 연평균 0.4% 감소하고 생산비는 2.7% 오르면서, 쌀 소득과 순수익이 연평균 각각 3.0%, 6.5%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해마다 생산비는 오르고 산지 쌀값은 떨어지면서 농가 소득과 순수익도 크게 줄고 있다”며 “순수익률은 2016년 21.5%를 찍은 후 계속 오르다가 2022년부터 매년 떨어지는 추세”라고 했다.

(자료=통계청)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