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실장은 이번 순방의 핵심성과로 △인도·태평양 전략 발표 △한-안세안 연대 구상 발표 △한미 동맹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추가 조치 논의 △한미일 간 협력 확대 및 경제안보대화체 신설 합의 △한일 관계 복원 및 양국 현안(강제징용) 해결 의지 확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 개최 총 6가지를 꼽았다.
특히 한중정상회담 성과와 관련, “양 정상이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상호 존중과 호혜에 입각한 관계 발전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윤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전례 없는 핵 위협 고도화가 중국을 포함해 역내 어느 국가에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서 중국이 책임 있는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역할을 해주기를 당부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시 주석이 윤 대통령의 ‘담대한 구상’을 언급한 데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그는 “북한이 담대한 구상을 받아들이는 순간 중국이 전폭적으로 힘을 보태겠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로 읽었다”며 “중국이 발 벗고 나서겠다는 적극적인 의미”라고 해석했다.
다만 이번 순방에서 우리 정부는 미국, 일본과 밀착한 반면, 중국과 외교적 공간을 지나치게 줄인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중국과의 외교적 공간은 여전히 충분하다고 본다”면서도 “우리 정부의 외교가 미국 일변도라는 말씀에는 동의하기 좀 힘들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양자 현안을 넘어 기후 변화, 공급망 문제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는 장이 많이 마련돼 있지 않나”라며 “중국과 소위 ‘범세계적’으로 함께 기여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한미동맹을 중심축으로, 중국 등 여타 국가들과 협력의 폭과 기회를 확대해가는 외교를 지향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중국의 경제보복 가능성 관련 논의에 대한 질문에는 “한미일의 포괄적 협력에 불만을 가진 국제사회의 제3국이 경제적 강압 조치를 가할 수 있다”며 “거기에 대해 어떤 상징적 조치 또는 실질적 조치로서 (한미일 3국의) 경제안보대화를 한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또 한일 정상회담에서 강제징용 배상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는데 의기투합하는 분위기를 감지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