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시 WHO는 성명에서 “코로나19에 대한 면역이 전세계적으로 높게 형성됐지만 다른 감염병 대비 사망률이 높고, 저소득국가와 고위험군에 충분한 예방접종이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신종 변이 출현의 불확실성도 있어 비상사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WHO가 이번 회의에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중국 방역 완화에 따른 위험이 줄어들고 있는 점은 위안거리이지만, 아직 아프리카 등 다른 지역에서 코로나19 사망자는 여전히 나오고 있다. 자칫 비상사태를 풀 경우 이들 지역에 대한 지원이 줄어들 우려도 있다.
WHO패널로 활동하는 네덜란드 바이러스 학자 마리온 쿠프만스 교수는 로이터에 “비상사태가 해제될 수도 있지만, 코로나19가 여전히 복잡한 공중보건 문제로 남아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며 이날 회의 결과에 대해 예단하지 않았다.
다른 소식통은 “공중보건 비상 사태를 해제할 경우 글로벌 자금 지원 및 협력 노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남아프리카 정부 대응에 대해 조언했던 코로나 전문가인 살림 압둘 카림 교수도 “아직 팬데믹에서 완전 벗어나진 않았지만 다른 단계에 도달했다”면서 “WHO가 비상사태를 해제하더라도 각국 정부는 여전히 검사, 예방접종, 치료 프로그램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면 미국 조지타운 대학의 로렌스 고스틴 법학교수는 “이제 모든 비상사태를 끝내야 한다”면서 “코로나19를 일상적인 풍토병으로 다루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