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영역은 지난 2017학년도부터 필수과목으로 지정되면서 절대평가로 전환됐다. 학습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취지였다. 하지만 1등급 비율이 20%를 넘나들면서 너무 쉽게 출제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랐다. 1등급 비율이 4% 내외인 상대평가와 비교하면 월등히 높기 때문. 같은 절대평가인 영어 영역의 경우 아무리 쉬워도 10% 내외의 1등급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수능에서 1등급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12.66% 수준으로 한국사에 비하면 낮은 수치다.
앞서 올해 수능이 치러진 직후 한국사 영역은 `보너스 문제` 논란을 겪었다. 해당 문제는 `다음 연설이 행해진 정부에서 추진한 정책으로 옳은 것을 고르라`는 문제로 노태우 전 대통령이 지난 1992년 1월 발표한 담화문을 제시한 뒤 노태우 정부에서 이뤄진 정책을 선택하는 문제였다. 정답은 남북 기본 합의서를 채택했다는 5번이다. 다만 나머지 1~4번 선택지가 현대사와 거리가 멀어 수험생 대다수가 쉽게 정답을 찾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설명에 해당하는 유물 사진을 고르는 1번 문제도 논란이 됐다. 해당 문항은 `지금 보고 있는 유물은 OOO 시대에 제작된 뗀석기이다. 이 유물은 사냥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한다`고 설명한 뒤 이에 해당하는 유물 사진이 무엇인지 물었다. 정답은 1번 주먹도끼로 한국사 학습 유무와 상관없이 사진만 잘 살펴봐도 답을 맞힐 수 있는 수준이었다.
국사 교사들은 교육당국의 학습 경감 취지는 이해하지만 난이도가 비정상적으로 낮다고 입을 모은다. 한 한국사 교사는 “학습 경감 취지는 이해하지만 문항이 너무 부끄러울 정도로 쉬운 수준”이라며 “교사로서 허탈감이 든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교사도 “절대평가 이후 대부분의 대학에서 수능 한국사의 응시 여부만 확인하는 등 자격고사화 해 난이도가 떨어졌다”며 “이번 논란을 계기로 터질 게 터졌다”고 지적했다.
반면 쉬운 문제가 출제되는 것이 무엇이 문제냐는 의견도 있다. 한 고2 학생은 “원래 쉽게 출제되는 과목인데 이번 논란을 계기로 내년 한국사만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며 “원래 한국사 영역의 특성이 그런 것인데 왜 논란이 되는지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