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은 관계자는 “(매각 절차의)계약주체에 산은은 포함되지 않는다”며 “법원이 회생절차를 주도하고 있어 산은이 별도로 입장을 내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쌍용차의 새주인 찾기가 불발되자 내부적으로 곤혹스러운 분위기도 감지된다. 산은이 공을 들여 추진했던 현대중공업(329180)과 대우조선해양(042660)의 ‘빅딜’이 무산된 데 이어 구조조정 기업 매각 절차가 또 꼬이게 됐기 때문이다.
쌍용차는 새로운 인수자를 물색해 신속하게 재매각을 추진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쌍용차는 인수 여건이 지난해 6월보다 나아졌다는 판단이지만 새로운 인수자가 나타날지는 미지수다. 지난해 본입찰에도 에디슨모터스가 사실상 유일한 입찰자였다.
새로운 인수 후보가 나타나지 않으면 쌍용차는 청산 절차를 피하기 어렵다. 문제는 청산 과정이 새정부 출범 시기와 맞물려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 입장에서는 쌍용차 청산이 대량 실업자를 양산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쌍용차의 청산을 피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는 쌍용차가 청산절차를 밟으면 결과적으로 주채권은행인 산은도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결국 정부가 바뀌고 산은 수장이 교체되면서 쌍용차 지원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흘러나오는 배경이다.
하지만 존속가치보다 청산가치가 높게 평가된 기업에 공적자금을 투입할 명분이 약하다는 지적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쌍용차의 청산가치가 9820억원인 반면 쌍용차의 계속기업가치는 6200억원에 불과하다. 기업을 청산해 ‘빚잔치’를 하는 게 더 낫다는 얘기다.
산은은 이같은 이유로 에디슨모터스의 자금지원 요청에 대해 수용불가 입장을 견지했다.
이동걸 산은 회장도 지난 1월 기자간담회에서 에디슨모터스의 쌍용차 인수 추진과 관련해 “기업 인수합병 과정에서 제일 안 좋은 차입매수(LBO)방식으로 가고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LBO란 인수 기업 자산을 담보로 금융회사에서 빌린 자금을 이용해 해당 기업을 인수하는 기법이다. 인수 주체의 자기 돈은 태우지 않겠다는 전략이다.
정부 역시 정권 교체기를 맞아 뚜렷한 입장을 내지 못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향후 처리 방안은) 법원이 기본적으로 판단해야 할 사항으로 일단 법원 판단을 지켜볼 수밖에 없다”며 “일각에서 거론하는 각종 가능성은 너무 앞서가는 이야기”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