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서울회생법원은 지난 4월 쌍용차에 대한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쌍용차는 2011년 법정관리에서 벗어났는데, 이로써 10년 만에 다시 법원 지휘를 받게 된 셈이다. 노조는 이에 대해 “이 지경이 되도록 대주주의 책임이나 주 채권단의 관리·감독은 찾아볼 수 없다”며 “경영진의 무능, 대주주의 무책임, 채권단의 관리·감독 부실이 만들어낸 인재”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노조는 쌍용차 노동자들이 오히려 희생과 고통을 감내해 왔다고 강조했다. 쌍용차 노·사는 지난 14일 △무급 휴직 2년 △현재 시행 중인 임금 삭감 및 복리후생 중단 2년 연장 △임원 임금 20% 추가 삭감 △단체협약 변경 주기 현행 2년에서 3년으로 변경 △무(無)쟁의 확약 등을 담은 자구안에 최종 합의했다.
이들 단체는 “쌍용차 노동자들은 쌍용차를 살리고 10년 전 비극을 반복하지 않고자 먼저 책임지는 모습으로 뼈를 깎는 자구안에 동의했다”며 “이런 노동자들의 희생에 대해 이젠 경영진과 마힌드라, 관리·감독 주체인 정부가 답할 차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이어 “경영 실패 책임을 노동자에게 떠넘기는 파렴치한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노조는 “경영진은 미래차를 포함한 쌍용차의 구체적인 경영 정상화 방안을 하루빨리 제시하고, 마힌드라는 기술 먹튀와 방만한 경영에 대한 책임을 지고 대주주로써 부채 탕감과 상하이자동차 사례에 준하는 감자에 나서야 한다”며 경영진과 마힌드라에 쌍용차 정상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또 정부와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이 사태를 방관하지 말아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이들은 “쌍용차 위기는 국내 자동차 산업, 쌍용차와 부품 협력사에서 일하는 10만 노동자, 평택 지역 경제에 모두 영향을 끼치는 중대한 문제”라면서 “정부와 산업은행은 관리·감독 책임자로서 강도 높은 실사를 진행해 마힌드라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쌍용차와 매각 주관사인 EY한영회계법인은 이날 쌍용차 인수·합병(M&A) 공고를 내고 매각을 본격화했다. 매각은 제3자 배정방식의 유상증자 및 회사채 발행 등 외부자본 유치 방식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