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는 이날 저녁 정기이사회를 열고 각 대학의 의대생 제적 처리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 관계자는 “이날 어떤 형태로든 관련 내용이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정재훈 고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학생들 입장에선 몇 주 정도는 탄핵 선고도 있고 정부에서 책임지고 결정할 수 있는 사람이 현 정부가 아니라고 생각해 결정이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대학 측에서 ‘더 이상의 데드라인 연장은 어렵다’고 강조하고 있어 요청이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낮다.
의협이 투쟁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아무 행동도 하지 않으면 그것이야말로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고 직무유기”라고 김택우 의협회장과 집행부를 공개 비판했다. 한 대학병원 교수 또한 “의협 집행부가 꾸려진 이후 지난 3달 동안 아무것도 하질 않는 점에 대해 내부에서도 그리 좋은 시선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렇듯 의협이 섣불리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의사 사회 내에서도 각자의 입장이 확연히 다르기 때문이다. 당장 교육·진료 공백을 우려하며 의정갈등에 적극 개입하고 있는 의대 교수들과는 달리 동네의원·병원의 최대 관심사는 비급여·실손 개편이다. 학생은 제대로 교육받을 권리를, 전공의는 제대로 수련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원하지만 의원을 운영 중인 대다수 의사는 수익과 직결된 문제에 가장 민감할 수밖에 없다. 각각의 의사가 원하는 바가 다른데 이를 의협이라는 대표 단체로 일치시킨다는 점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는 해석이다.
이에 대해 김성근 대변인은 “의료계 내부 의견이 넓게 골고루 분포돼 있고 각자 미래에 대한 예측이 달라서 지금은 무엇을 얘기해도 대변하는 입장이 되지 못할 수는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개혁이기 때문에 이를 논의하는 상대는 의협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