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의대생 제적 현실화…고민 깊어진 의협

안치영 기자I 2025.03.26 14:00:10

의협 “제적 유예 요청 검토…투쟁 방향도 논의”
현실적 투쟁 방안 ‘전무’…“내부 의견 다 달라”

[이데일리 안치영 기자] 의대생 제적이 현실화된 가운데 의료계 내에서 제적 조치를 일단 뒤로 미뤄야 한다는 의견과 대한의사협회가 투쟁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함께 제기되고 있다. 일단 의협은 내부에서 제적 조치와 앞으로 투쟁 방안 등에 논의할 예정이지만 의견 일치가 어려워 뾰족한 수가 나오긴 어렵다는 분위기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는 이날 저녁 정기이사회를 열고 각 대학의 의대생 제적 처리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 관계자는 “이날 어떤 형태로든 관련 내용이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근 대변인이 지난 20일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진행하는 모습.(사진=안치영 기자)
연세의대와 고려의대는 미복귀 의대생에게 제적 예정 통지서를 발송했으며 다른 의대 또한 같은 조치를 고려 중이다. 이에 의료계 내부에선 일단 제적을 몇 주 미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학생들이 돌아올 결심을 하기까진 시간이 걸린다는 이유 때문이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하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정부와 대학에 학생들에겐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해 제적 조치를 뒤로 미뤄달라고 요청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재훈 고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학생들 입장에선 몇 주 정도는 탄핵 선고도 있고 정부에서 책임지고 결정할 수 있는 사람이 현 정부가 아니라고 생각해 결정이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대학 측에서 ‘더 이상의 데드라인 연장은 어렵다’고 강조하고 있어 요청이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낮다.

의협이 투쟁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아무 행동도 하지 않으면 그것이야말로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고 직무유기”라고 김택우 의협회장과 집행부를 공개 비판했다. 한 대학병원 교수 또한 “의협 집행부가 꾸려진 이후 지난 3달 동안 아무것도 하질 않는 점에 대해 내부에서도 그리 좋은 시선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물론 의협 또한 투쟁에 나서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 또한 경청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는 태도다. 실제로 의협은 지난 20일 브리핑을 통해 학생 제적이 현실화되면 모든 방법을 동원해 투쟁할 것임을 시사한 바 있다. 시위·집회는 물론 파업과 태업까지도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다만 시위·집회는 효과가 미미하고 파업과 태업은 역풍을 불러일으킬 위험과 참여율이 낮을 수 있어 섣불리 꺼내기 어려운 카드다.

이렇듯 의협이 섣불리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의사 사회 내에서도 각자의 입장이 확연히 다르기 때문이다. 당장 교육·진료 공백을 우려하며 의정갈등에 적극 개입하고 있는 의대 교수들과는 달리 동네의원·병원의 최대 관심사는 비급여·실손 개편이다. 학생은 제대로 교육받을 권리를, 전공의는 제대로 수련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원하지만 의원을 운영 중인 대다수 의사는 수익과 직결된 문제에 가장 민감할 수밖에 없다. 각각의 의사가 원하는 바가 다른데 이를 의협이라는 대표 단체로 일치시킨다는 점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는 해석이다.

이에 대해 김성근 대변인은 “의료계 내부 의견이 넓게 골고루 분포돼 있고 각자 미래에 대한 예측이 달라서 지금은 무엇을 얘기해도 대변하는 입장이 되지 못할 수는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개혁이기 때문에 이를 논의하는 상대는 의협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계 집단행동

- 의대 총장들 "정상 수업 이뤄지면, 26학년도 '0명 증원' 재확인" -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나”…박단, 복귀 의대생 비판 - 서울 내 의대생들 복귀 움직임, "고려대는 80% 이상 희망"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