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日자동차 업계, 2027년까지 배터리 여권 도입·생태계 구축

방성훈 기자I 2024.07.11 14:37:41

배터리 여권 정보 기록·관리 위한 시스템 공동 개발
폐배터리 재활용 등 EU 배터리 규제 강화 따른 대응
전기차 판매하려면 배터리 규정도 충족해야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일본 자동차 업계가 닛산자동차와 혼다자동차 주도로 2027년까지 ‘배터리 여권’을 도입하고, 이를 위한 생태계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유럽연합(EU)의 배터리 관련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조처다.

(사진=AFP)


11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에 따르면 닛산, 혼다, 마쓰다, 덴소 등 일본 자동차 관련 기업 7개사는 오는 2027년까지 배터리 여권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7개사는 기밀성을 유지하면서도 디지털상에서 배터리 정보를 기록·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공동으로 시스템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두 기업은 전 세계 120개사 이상이 참가한 기업연합 ‘모빌리티 오픈 블록체인 이니셔티브’(MOBI)에서 배터리 여권 기반 개발을 담당해 왔는데, 실증이 이뤄진 것부터 실용화하려는 것이라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배터리 여권이란 배터리의 재료 및 원산지, 생산·이용·재활용 이력, 환경 규제 이행 여부 등을 전산에 기록하는 일종의 디지털 이력서다. 일련의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발자국도 포함된다. 희귀금속은 얼마나 쓰였는지 등과 같은 정보를 관련 사업자니 자동차 소유자가 QR코드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일본 자동차 업계의 이같은 움직임은 EU의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EU는 지난해 6월 △탄소발자국 신고 의무화 △폐배터리 수거 및 원자재 회수 목표 설정 △최소 재활용 원료 사용 비중 적용 △공급망 실사 의무화 △배터리 여권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하는 배터리 규제안을 채택했다.

EU에서 전기차를 판매하려는 자동차 제조업체는 2027년부터 이를 충족해야 한다. 예를 들어 EU는 역내에서 폐배터리 재활용을 의무화했는데, 리튬은 50%를 추출해 다시 자원으로 써야 한다.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추가 크레딧 등을 지불하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판단하는데 있어 배터리 여권은 필수 도구다.

한편 EU의 배터리 규제 강화 움직임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은 배터리에 쓰이는 희귀금속을 과점하고 있다. 실례로 리튬의 가공·정제 분야에서 중국의 글로벌 점유율은 65%에 달한다.

닛케이는 “EU는 자동차 제조업체를 상대로 중국에 대부분의 공급망을 의존하는 배터리의 정보를 공개토록 요구해 경제안보상 대책을 강화하고, 역내 재료 재활용을 촉구하려는 목적”이라며 “배터리 여권은 원산지 파악에 유효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