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뉴딜`에 방점이 찍힌 한국형 뉴딜사업에 포함되진 않았지만 정부가 환경분야에 관심을 크게 두고 있다. 아울러 정치권에서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그린 뉴딜`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환경 관련 일자리 만들기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
13일 환경부 관계자는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3차 추가경정예산에서 최대 5000개에 이르는 환경관련 직접 일자리를 만드는 사업을 포함하도록 추진 중”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해 영향을 받는 환경분야가 많고 정부 내에서도 이 분야에 관심이 커 관련 일자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변화하는 경제·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3차 추경을 통해 한국형 뉴딜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이번 대규모 일자리사업이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 중 어디에 방점이 찍히느냐에 관심이 집중됐다.
디지털 뉴딜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으로 전환하는 사회에 대비해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련 일자리를 신설하는 사업인 반면 그린 뉴딜은 코로나19의 근본 원인으로 꼽히는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산업을 육성하고 관련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을 뜻한다. 결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을 중점으로 한 디지털 뉴딜로 방점이 찍히면서 정부는 본격적인 3차 추경 준비에 착수한 상태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이후 그린 뉴딜을 강조하는 분위기 속에서 우리 정부만 유독 환경분야를 언급하지 않은 것을 두고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시민단체인 녹색연합은 지난 10일 문 대통령의 취임 3주년 연설에 대해 “한국형 뉴딜과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녹색`은 없다”며 “녹색 일자리 전환이나 기후변화, 생태를 고려하기는커녕 안전과 환경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특히 최근 상수도분야 예산 삭감으로 계획했던 일자리가 일부 줄어든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연초 환경부는 스마트물관리사업에 8000억원 가량을 투입해 6000명 가량의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었지만 긴급재난지원금 재원 마련을 위해 2000억원 가량 관련 예산이 삭감되면서 관련 일자리도 일부 줄어들 전망이다.
이를 감안해 환경부는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환경 일자리를 최대 5000개까지 만들어 연초 목표대비 줄어드는 일자리까지 보충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녹색산업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정부 안에서는 이미 디지털 뉴딜과 함께 그린 뉴딜도 추진되고 있다”며 “2차 추경에서 예산이 삭감되면서 연초 계획한 간접 일자리 일부가 줄어들긴 하겠지만 포스트 코로나 대비 일자리 증가가 훨씬 큰 규모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코로나19 이후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한 일자리가 대거 만들어질 전망이다.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최근 늘어난 층간소음 갈등을 예방하기 전문상담서비스 관련 일자리가 대표적이다. 또 배달문화가 급격하게 늘면서 같이 급증하는 폐기물을 분리하기 위한 선별도우미와 아직도 안전하지 않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멧돼지에 대한 온라인 감시체계 구축 등이 이번 추경에 반영될 주요 환경 관련 일자리로 검토되고 있다.
이번 그린 뉴딜은 정치권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 사업 추진에 힘이 붙을 전망이다. 특히 민주당은 총선 직전에 `2050 그린 뉴딜 비전`을 발표하는 등 환경 일자리와 녹색산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환경부는 각 분야별 일자리 규모를 확정해 이달 중으로 기획재정부와의 협의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3차 추경안은 다음달 21대 국회 출범에 맞춰 제출될 수 있도록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환경부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녹색산업 중 디지털뉴딜과 연계할 수 있는 부분도 추경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일자리위원회와 환경관련 일자리를 계속해서 발굴해 나가는 작업도 이어나갈 방침”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