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포스코케미칼 회사채 1조 넘게 몰려..양·음극재 설비투자 '청신호'

하지나 기자I 2023.02.15 17:01:30

녹색채권 2000억원 수요예측서 1조5500억 몰려
4000억까지 증액 가능성↑..1358억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 투자 등
포항 음극재 2공장 준공시 연산 1.8만t..내년 하반기 완공
국내서 유일 흑연계 음극재 생산..자회사 원료 공급 '수직계열화'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포스코케미칼(003670)이 1년 만에 2000억원 규모 녹색채권 발행에 나선 가운데 수요예측에서 1조원이 넘는 금액이 몰리면서 흥행에 성공했다. 포스코케미칼은 발행 금액을 4000억원까지 증액할 가능성이 유력한 가운데 이 중 일부 인조흑연 음극재 제조설비와 양극재 원료 매입에 투입키로 했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케미칼은 이날 2000억원 규모의 녹색채권 발행을 앞두고 진행한 수요예측 결과 총 1조5500억원의 주문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다. 녹색채권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채권의 한 종류로, 자금 사용은 기후변화, 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 및 인프라 투자로 한정된다.

수요예측이 흥행하면서 회사 측은 당초 예정됐던 2000억원에서 최대 4000억원까지 증액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특히 증액분 가운데 1358억원은 현재 포항에 건설 중인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에, 323억원은 양극재 제조를 위한 전구체 리튬 등 원료매입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케미칼은 지난 2021년 12월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 연산 8000t 규모의 인조흑연 음극재 1단계 공장을 완공했다. 지난달 2단계 착공에 돌입했으며, 내년 하반기 준공 예정으로 증설이 마무리되면 연간 1만8000t 규모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60KWh 기준 전기차 약 47만대 공급이 가능한 양이다. 포스코케미칼 관계자는 “1단계 공장이 완공됐는데 시험 가동 중”이라면서 “늦어도 2분기 중에는 본격 양산에 돌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포스코케미칼은 전기차 소재 생산의 대부분을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유일하게 흑연계 음극재를 생산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작년 하반기에 발간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음극재 생산의 85%가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자회사 포스코MC머티리얼즈가 포스코 제철 공장의 부산물 콜타르를 활용해 인조흑연의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생산하고 있어 수직 계열화가 가능한 구조다. 현재 글로벌 전기차용 음극재 시장은 인조흑연이 주도하고 있다. 인조흑연은 천연흑연 대비 배터리 수명을 늘리고 충전 시간을 단축하는 강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어 포스코케미칼은 양극재 설비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해 광양공장 양극재 3,4단계 생산 라인 준공이 완료되면서 연간 9만t 규모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갖추게 됐다. 단일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로, 전기차 100만여대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수준이다.

지난해에는 3511억원을 투자해 General Motors(GM)과 합작사를 세우고, 캐나다에 연간 3만톤 규모의 하이니켈 양극재 공장을 설립 중이다. 2024년 하반기 완공 예정 및 2025년 상반기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2023년까지 40조원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니켈 NCA(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 양극재를 삼성SDI에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시설 투자 확대를 통해 올해 국내 연산 기준 천연흑연 음극재 8만6000t, 인조흑연 음극재 8000t까지 생산량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케미칼은 당분간 국내외 설비 증설 영향으로 자금 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에너지소재 부문 투자로 6772억원이 투입됐다. 실제로 차입금 규모는 점차 늘어나는 모습이다. 연결기준 순차입금 규모는 지난해 3분기 1조3442억원으로 1년 전(6573억원)보다 2배 가량 증가했다.

포스코케미칼 관계자는 “현재 현금성 자산을 1조원 이상 보유하고 있지만 앞으로 다양한 투자가 예정돼 있고 다방면으로 자금 조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채권 증액을 열어두고 설비 투자에 활용하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