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신혼부부, 처음으로 100만쌍 밑돌아…맞벌이 절반이 '딩크족'

권효중 기자I 2024.12.10 12:00:00

통계청, 2023년 신혼부부통계 결과
작년 신혼부부 97.4만쌍…첫 100만쌍 밑돌아
10쌍 중 6쌍 '맞벌이'…평균 자녀수 0.63명으로 역대 최소
"결혼 줄고 아이 안 낳는 추세 신혼부부에도 반영"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지난해 신혼부부가 1년 전보다 5.6% 줄어 97만 4000쌍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만쌍을 밑돌았다. 신혼부부 10쌍 중 5쌍은 맞벌이를 하며 맞벌이 부부 절반은 아이를 낳지 않는 ‘딩크족’으로 집계됐다. 저출산 기조 속 평균 자녀 수도 0.63명에 그쳐 역대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10일 통계청의 ‘2023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신혼부부는 97만 4000쌍으로, 전년 대비 5.6%(5만 8000쌍) 감소했다. 신혼부부가 100만쌍을 밑돈 것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래 처음이다. 통계상 신혼부부는 매년 11월 1일 기준으로 혼인신고를 한 후 5년이 지나지 않았고, 혼인 관계가 이어지며 국내에 거주 중인 부부를 일컫는다.

젊은 세대가 혼인을 하지 않는 경향이 이어지며 신혼부부는 매년 줄어들고 있다. 2015년 147만 2000쌍을 기록한 후 신혼부부는 매년 감소했으며 코로나19로 결혼식 등이 미뤄진 지난 2021년 전년 대비 7.0% 감소하며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낸 바 있다.

아이를 낳지 않는 경향으로 인해 초혼 신혼부부 중 아이가 없는 부부의 비중도 역대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 76만 9000쌍 중 자녀가 없는 부부의 비중은 47.5%(36만 5000쌍)으로 전년(46.4%)보다 1.1%포인트 높아졌다.

아이가 있는 신혼부부의 비중은 52.5%이며 이들의 평균 자녀 수는 0.63명으로 전년보다 0.02명 줄어들었다. 이 역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저 수준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사회 전반적으로 결혼을 하지 않거나,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를 낳지 않는 추세가 새로 결혼을 하는 신혼부부에서도 관찰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주택을 소유하고 있어 주거 안정성이 높은 경우 유자녀 비중은 늘어난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58.3%로, 무주택 부부보다 9.7%포인트 높았다. 평균 자녀 수 역시 주택 소유 부부가 0.70명으로, 무주택 부부(0.57명)와 비교해 0.13명이 많았다. 주거 안정성이 자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이 큰 셈이다.

아이를 낳는 대신 맞벌이를 선택하는 경우는 늘어나고 있다. 초혼 신혼부부 중 맞벌이 비중은 58.2%로, 전년 대비 1.0%포인트 높아졌다. 혼인 1년차의 맞벌이 비중은 61.8%로 평균을 웃돌며 가장 높았고, 혼인 연차가 높아질수록 맞벌이 비중은 점차 낮아졌다. 맞벌이를 하는 이들의 유자녀 비중은 49.6%에 그쳐 맞벌이 부부의 경우 아이를 낳지 않는 ‘딩크족’의 비중이 절반에 달했다.

맞벌이가 늘어나며 지난해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소득은 7265만원으로, 전년(6790만원) 대비 7.0% 증가했다. 맞벌이 부부의 평균소득은 외벌이(5369만원)의 1.7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한편 초혼 신혼부부 중 대출 잔액이 있는 부부의 비중은 87.5%로 작년보다 1.2%포인트 낮아졌다. 이들의 대출 잔액은 1억~2억원 미만 구간이 28.2%로 가장 많았으며, 대출 잔액 중앙값은 1억 7051만원으로 전년보다 3.9% 늘어났다. 다만 대출 잔액의 증감률은 해마다 낮아지는 추세로, 통계청 관계자는 “고금리로 인해 대출을 받지 않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