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선후 증시]②애타는 사드·남북경협 관련주

박수익 기자I 2017.04.07 13:37:38

사드배치, 文 신중접근 安 반대→제대로 해야
정치적 발언보다 중요한건 출범 후 외교력
개성공단 재개 등 남북경협 文·安 입장 엇갈려

한달 앞으로 다가온 대선은 주식시장에서도 화두다. 각종 여론조사마다 조사방법의 차이가 있어 단순 비교수치를 맹신하는 건 금물이지만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타후보와 격차를 벌리는 양상은 뚜렷하다. 증시의 관심도 자연스레 두 후보가 제시한 정책키워드와 공약에 맞춰진다. 과거보다 국내 정치이슈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줄었다고 하나 △소비심리와 연관있는 내수기반업종 △차기정부 외교·대북 정책에 따른 관련주 △규제당국 입장변화에 따라 민감한 대기업·지주회사 △신산업육성책 수혜를 받을 중소형주는 상대적으로 민감할 수 있다. 관련 이슈를 분석해본다. [편집자 주]

[이데일리 박수익 기자] 면세점사업 비중이 높거나 중국진출을 본격화한 업체들에게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문제는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대북경제협력 관련주들은 개성공단 재개 남북경협 입장이 첨예한 관심이다.

우선 사드 배치 관련 대선후보 5명의 입장은 △즉각 중단(심상정) △예정대로 진행(안철수·유승민·홍준표) △공론화과정 거쳐 신중히 접근(문재인)으로 비교적 뚜렷하게 나뉜다. 이 가운데 안철수 후보의 사드배치 관련 입장 변화가 주목받고 있다. 그가 속한 국민의당은 사드배치 반대가 당론이고 안 후보도 지난해 7월 정부의 사드배치 방침에 국민투표까지 거론하며 강경한 반대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올 들어 안 후보의 입장 변화 분위기가 감지됐고 특히 대선후보 선출 직후 공개토론회였던 지난 6일 관훈토론회에선 “다음 대통령은 사드 배치를 제대로 해야 한다”며, 당론을 수정하겠다고 뜻을 내비쳤다. 대선 캐스팅보트로 지목되는 보수층을 겨냥한 발언이란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사드배치 관련 두 후보 간 명확한 입장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다만 사드배치 문제는 단순한 찬성·반대 입장만으로 대선 이후 상황을 예측하긴 어렵다. 오롯이 대한민국 정부 혼자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안이고 한미동맹, 전술핵배치, 개성공단 등 복합적인 외교·안보·대북정책과도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선거 전 정치공학적 계산이 깔린 발언 수위보다는 대선 이후 새정부의 외교력이 더 중요한 관건이다.
(왼쪽부터)멜라니아 트럼프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부인 펑리위안이 6일(현지시간) 저녁 트럼프의 별장인 플로리다 주(州) 마라라고 리조트에 나란히 앉아 있다.


이런 가운데 6일(현지시간)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이 열리고 있다. 핵심의제 중 하나가 북핵이다. 트럼프 정부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 역할이 중요하고, 사드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하는 차원으로 주한미군에 배치하는 것이란 입장을 꾸준히 밝혀왔다. 이런 입장을 가지고 중국과 이른바 ‘북핵·사드 담판’을 시도할 예정인데 그 결과가 주목된다.

회담에 앞서 미국 상원 의원들은 한국을 향한 중국의 사드보복 중단을 요구해야 한다는 서한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냈고 트럼프 대통령도 파이낸셜타임즈(FT)와 인터뷰에서 북핵관련 ‘중국이 북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미국이 독자 행동할 것”이라며 중국을 압박하기도 했다.

한편 주식시장에 적지 않게 포진한 남북경협주 관련 가장 민감한 이슈인 개성공단 재개와 관련한 두 후보의 입장은 뚜렷하게 엇갈린다. 안철수 후보는 개성공단과 관련 국민의당 토론회에서 “종합적으로 (대북)제재를 강화하는 동시에 대화를 병행하고 그 끝에 종합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사실상 즉각 재개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반면 문재인 후보는 수차례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개성공단을 하루 빨리 재개하고 규모도 확장하겠다는 점도 언급했다.

`사드 배치` 논란

- 사드 쇼크…제주 소매점판매 사상 첫 마이너스 - 사드보복·내수부진에 원료값 상승까지…캄캄한 음식료株 - 광주에서 '사드보복'은 남 일..中기업 "韓 콘텐츠 협력"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