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초 한은은 서울 아파트 가격 급등, 가계대출 증가 등 부동산 시장 폭등 우려로 기준금리 인하를 망설인다는 관측도 있었으나, 지난달 1%대를 기록한 물가 상승률 등 거시 경제 상황이 금리 인하 여력이 충분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기준금리 인하에도 금융당국이 가계빚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은행이 대출금리를 내리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최근 가계대출의 증가세가 다소 움츠러들긴 했지만 아직 안정 상태라고 판단하기엔 무리다. 기준금리 인하가 수도권 집값 상승을 부추겨 가계부채가 다시 늘어날 여지도 크다.
이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9월 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은 6조9000억원으로 전달의 8조5000억원보다 1조6000억원 감소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전월 대비 1조7000억원 줄며 감소세로 전환했다. 전달 대비 증가폭이 다소 줄긴 했지만 아직 7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의 주담대가 실행되고 있다.
대출금리도 곧바로 내려가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10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4.59~6.69%로, 지난달 말(연 4.50~6.69%)과 비교해 하단이 0.09%포인트 올랐다. 주담대 고정금리(혼합·주기형)는 연 3.66~6.06%로, 같은 기간 금리 하단이 0.02%포인트 상승했다.
기준금리에 연동되는 시장금리가 이달 들어 오히려 올랐기 때문이다. 지난 7~8월 사이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이미 시장에 선반영돼있는 영향도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추후 시장금리가 내려가기 힘든 상황이라는 전망도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향후 대출금리의 향방은 부동산 시장 과열이 언제 진정되느냐일 것”이라며 “이번 한은의 금리 인하를 견인한 핵심 변수는 집값 상승세 둔화에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금리·부동산 상황에 따라 가계부채가 언제든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긴장을 늦추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 폭이 여전히 크고 추석 연휴 등 계절적 요인이 작용한 점을 고려할 때 높은 경각심을 갖고 가계부채를 관리해야 한단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다”며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가적인 가계부채 관리 수단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