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혁신처는 25일 이 같은 ‘2018년 공무원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노후생활 대비방법’을 질문한 결과 응답인원(95만6096명) 중 78만4661명(43.5%)이 공무원연금이라고 답했다. 이어 적금·예금이 21.8%(39만3220명), 연금 등 보험상품이 15%(27만878명), 부동산이 7.5%(13만5872명), 주식·펀드가 5.7%(10만2469명) 순이었다.
2013년 공무원총조사에서도 공무원연금으로 노후생활을 대비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43.6%(70만7326명)으로 가장 높았다. 노후생활 대비 방법으로 보험상품은 19.2%에서 15%로 감소했다. 반면 적금·예금은 19.1%에서 21.8%로, 주식·펀드는 4.9%에서 5.7%로, 부동산은 5.4%에서 7.5%로 증가했다.
공무원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연금·부동산 비율이,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적금·예금 비율이 높았다.
노후생활 대비 방법으로 공무원연금을 응답한 비율은 20대 39.6%(7만2840명)에서 30대 41.8%(20만4611명), 40대 43.4%(26만1947명), 50대 46.5%(23만3463명), 60세 이상은 48.5%(1만1800명)로 높아졌다. 부동산 비율도 20대 2.9%(5322명)에서 60세 이상 9.5%(2317명)로 높아졌다. 반면 적금·예금 비율은 20대 이하 34.1%(6만2718명)에서 60세 이상 17.4%(4229명)로 낮아졌다.
공무원이 선호하는 퇴직금의 종류도 공무원연금이 58.8%(56만2557명)로 가장 높았다. 연금과 일시금을 나눠 지급받기를 원하는 경우도 38.2%(36만5088명)에 달했다. 다만 민간기업처럼 일시금을 원하는 경우는 3%(2만8451명)에 그쳤다.
연금복지 사업으로 희망하는 사업 1순위는 주택분양 지원이 21%(32만9288명)로 가장 많았다. 현재 주택을 보유한 공무원 비율은 64.4%(61만5909명)였다.
공무원연금공단, 공무원연금공단이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공무원연금 퇴직급여 수급자 41만9968명은 1인당 월평균 240만원을 받았다. 지난해 국민연금 전체 수급자 469만 명의 월평균 연금액은 38만6000원이었다. 공무원 연금이 국민연금보다 6배 가량 많다.
인사처 관계자는 “공무원연금으로 노후를 대비하는 공무원이 여전히 많지만, 연금개혁 이후 젊은 공무원들은 연금 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바뀌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전체 공무원 106만8629명(작년 8월1일 기준) 중 공무원총조사 시스템을 통해 응답한 공무원(헌법기관을 제외한 국가직·지방직) 95만6096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다. 공무원총조사는 1969년부터 5년 주기로 국가직·지방직·헌법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해왔다. 이번 2018년 공무원총조사는 11차 조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