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신선식품 물량을 대폭 늘인다. 신선도 관리를 위해 수출통합조직을 운영한다. 주요 신선식품 수출 품목을 딸기·파프리카·버섯 등 12개에서 2027년까지 20개 품목으로 확대한다. 또 고품질 농산물 수출을 위해 항구에서 최종 소비지까지 농산물에 적합한 콜드체인(저온유통체계)를 확립하고, 수출 유망 신품종을 육성한다.
가공식품 수출기업의 경우 경영안정 및 품질제고를 지원한다. 원료·원자재 운영자금 으로 4584억원을 지원하고, 금리를 2~3%포인트 인하해주는 우수 수출기업의 비중을 45%에서 55%로 확대한다. 환변동 리스크에 대응하도록 수출보험 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엔저 등으로 환변동 부담이 큰 일본시장 수출업체 대상으로 보험 자부담을 올해 6월까지 한시적으로 면제한다. 올해 380억원 규모의 식품 연구개발(R&D)을 지원하고, 유기농·국제우수농산물인증(Global GAP)·할랄·코셔 등 수출에 필요한 국제 인증 취득 비용도 업체당 최대 4000만원을 지원한다.
미국·일본·중국 중심의 기존 수출구조에서 벗어나 수출시장도 더욱 확대한다. 수출 증가율과 실적, 현지 진출여건 등을 고려해 △독일 △영국 △캐나다 △멕시코 △호주 등 8개 국을 최우선 전략국으로 선정하고 국제 식품박람회 참가 및 바이어 매칭을 지원한다.
◇푸드테크·스마트팜 등 신성장 동력 집중 육성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신성장 동력 육성에도 집중한다. 푸드테크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스타트업을 육성한다. 세포배양식품 생산기술과 식물기반식품 제조기술, 친환경식품 포장기술 10대 핵심 분야를 정해 집중적으로 연구개발을 해 품질을 차별화 하고, 2027년까지 전용펀드를 1000억 원 이상 조성한다. 그린바이오 산업은 종자, 미생물, 동물용 의약품, 곤충, 천연물, 식품 등 6개 분야를 거점으로 육성하고 올해 1184억 원의 R&D 예산을 투자한다. 역시 2027년까지 1000억 원의 펀드 조성해 혁신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국내 스마트팜도 본격적으로 수출 기반을 마련한다. 스마트팜 분야는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순방에서 총 5600만달러 규모의 수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정부는 MOU를 제·개정하고 농업 R&D 협력 등을 통해 ‘사막형 스마트팜 기술’을 개발한다. 또 중동, 호주, 베트남, 카자흐스탄 등에 스마트팜 시범 온실을 조성하고 이를 수출 거점으로 활용한다.민간 자본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펀드를 200억원 규모로 조성하고 수출융자 등 전용자금 지원 시스템을 마련한다.
이밖에도 농식품부는 지난 1월 출범한 ‘K푸드+ 수출 확대 추진본부’를 통해 수출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업계 애로를 해소해 줄 예정이다. 또 농식품부 내 ‘K푸드+ 금융·투자 지원단’을 통해 자금이 수출업체에 유입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농식품부 직원 모두가 해외영업사원이라는 각오로 2027년까지 수출 규모를 230억 달러까지 늘려 대한민국 수출 효자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