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일중 기자]“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는 시험인증 서비스 발굴과 인증 브랜드화로 인증산업의 활로를 찾아야 한다”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인증제도는 어떻게 변하고 어떤 역량을 개발해야 할지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8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 서울호텔에서 ‘2017년 제4회 국가인증제도 포럼’을 개최해 전문가들과 함께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인증 정책 대안을 논의했다.
인증제도란 제품과 서비스 등이 일정한 표준기준 또는 기술 규정 등을 충족시켰는지 정부가 정한 시험기관이 보증하는 제도다. 한국의 KC, 유럽연합(EU)의 CE, 일본의 PSE, 중국의 CCC마크가 대표적이다.
주제발표에 나선 송태승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수석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의 메가트렌드인 플랫폼화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각 요소 제품 및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부터 상호 운용성 확보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 연구원은 “유명 시험인증기관은 기능안전, 정보기술(IT), 보안기술 등을 포함한 시험인증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있다”며 “유망 시험인증 서비스 발굴과 시험기술 확보를 통한 인증 브랜드화가 우리 인증산업의 활로”라고 결론지었다.
김광태 유엘코리아(UL Korea) 전무이사는 “미래의 지능 정보화, 무인화에 따른 예기치 못한 위험과 정보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며 “시장 요구와 신기술에 부합하는 인증 분야가 생성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 이사는 특히 “유엘코리아는 사물인터넷(IoT) 단절 예방 및 가상공간 보안(Cybersecurity)을 미래 수요로 보고 인증 규격 제정과 적용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포럼에서는 정부가 마련한 안전 정책 취지를 설명하고 의견을 듣는 기회도 마련됐다.
정부를 대표한 박종섭 국표원 팀장은 ‘제품안전관리 종합계획(안)’을 발표하고 비관리 제품의 안전 확보를 위해 실시한 시범사업 결과를 공개했다.
윤명 소비자시민모임 사무총장은 “소비자들은 개별 인증 마크보다 국가통합인증(KC)를 더 신뢰한다”며 “인증에 대한 책임과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재용 중소기업중앙회 단체표준국장은 “유사 중복인증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규제개혁이 필요하다”며 “대다수 기업이 판로확보를 위해 인증을 취득하는 현실을 감안해 필수 인증이라도 수요처와 연계성을 제도적으로 강화해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