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세계 곳곳 대규모 건설사업 "뚝딱 뚝딱~"

양효석 기자I 2012.11.14 18:00:00

인프라 투자 통해 경기부양
재원조달·재정적자가 관건

[상하이=이데일리 양효석 특파원·성문재·김유성 기자] 신흥국 인프라 투자의 최대 하이라이트는 중국이다. 중국이 미국과 함께 세계 경제를 이끌고 있어 중국의 인프라 투자는 중국은 물론 글로벌 경기 변동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경제성장률 8% 달성이 어려워진 중국은 최근 경기부양을 위해 단계적으로 10조위안(1800조원) 이상을 쏟아부어 성장률 방어에 들어갔다.

투자는 계획별로 오는 2020년까지 이뤄질 예정이다.

중국 증권시보(證券時報)는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올해 4분기에만 4조위안(720조원)이 넘는 재정지출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오는 15일 시진핑 정권이 들어서면 권력교체에 따른 경기부양 강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지역별로는 쓰촨성이 지난 9월 3조6700억위안(660조6000억원)에 달하는 2242개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를 내놨다. 주요 내용은 지하철·도로·터널 등 교통시설 투자다. 저장성은 8월 1조2000억위안(216조원) 규모의 해양경제발전 계획을, 톈진시는 석유화학 등 1조5000억위안(270조원) 규모의 10개 산업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광둥성은 1조위안(180조원) 규모의 177개 건설 프로젝트를, 구이저우성과 후난성은 생태문화관광자원·종합교통시스템 등의 프로젝트를 밝혔다. 후베이성은 오는 2015년까지 교통인프라 건설에 6000억위안(108조원)을 투자할 방침이며 간쑤성은 2000억위안(36조원)을 들여 10개 고속도로를 건설하기로 했다.

지방 정부의 투자계획 뿐만 아니라 실제로 투자가 집행될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의 프로젝트 승인건수도 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투자 프로젝트는 NDRC 심사를 거쳐 승인을 얻어야 추진할 수 있다. NDRC는 최근 8000억위안(144조원) 규모의 25개 도시 지하철과 철도 건설을, 1조위안(180조원) 규모의 저장성·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도로·하수처리시설·수로·항구 건설 프로젝트를 각각 승인했다. 투자승인은 오는 15일로 예정된 시진핑(習近平) 정권교체 이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HSBC는 경제부양을 위해 나온 이번 조치로 중국의 인프라 건설 연간성장률이 종전 15%에서 20%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취훙빈(屈宏斌) HSBC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는 경제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인프라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수 개월 뒤 완만한 성장 회복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2위 인구 대국인 인도도 올해 경제성장에 빨간불이 켜지자 인프라 투자에 적극 나서는 분위기다. 인도 경제성장률은 2009년 9%대에서 올 들어 5%대까지 곤두박질 쳤다.

이에 따라 인도는 올해 제12차 경제개발계획을 발표해 오는 2017년까지 전력 공급망 투자에 총 964억달러(106조원)를 쏟아 붓기로 했다. 또한 도시 대중교통망 정비를 위해 대량 고속수송 시스템(MRTS)을 도입하기로 했다. 델리, 뭄바이, 첸나이 등 10개 구간에 총 1조3156억루피(27조원)를 투자해 도시철도를 건설한다. 이를 통해 통근·등교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역 주변 신규 상권을 형성시켜 경기 활성화를 꾀한다는 생각이다. 이와 함께 북부 산업도시 델리와 경제수도 뭄바이를 연결하는 산업벨트(DMIC)도 개발한다. 여기에는 총 900억달러(99조원)이 들어간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인프라투자도 활발하다. 필리핀 국가경제개발청은 지난달 600억 페소(1조6000억원) 규모의 9개 인프라 사업을 승인했다. 국도와 교량, 철도망, 공항 등 교통 인프라 구축은 물론 상습 홍수피해지역을 대상으로 방재 시스템을 설치하는 내용이다. 특히 필리핀은 오일 및 가스 분야 인프라 사업에 세제헤택을 제시해 투자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중이다.

인도네시아는 오는 2025년까지 1786조 루피아(204조원)를 인프라 구축에 투자키로 했다. 전력, 에너지, 도로, 철도 등 경제 성장을 위해 필요한 기반시설이 주를 이룬다. 특히 인도네시아 정부는 자카르타 수도권 투자촉진 특별지역(MPA)에 40조원 이상을 지출할 계획이다.

아프리카 제1의 경제 대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은 최근 경제성장 둔화와 극심한 소득 불균형 상태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산한 올해 남아공의 경제 성장률은 2.6%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평균 경제성장률 5%의 절반 수준이다. 남아공 정부가 꺼내든 카드 역시 대규모 인프라 건설이다. 남아공은 향후 15년간 1000억달러(110조원)를 투입해 에너지, 수도, 통신, 교통 등 인프라 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석탄에 편중된 에너지 소비구조를 바꾸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는 한편 2030년까지 1100만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자스민 혁명을 겪은 이집트는 낙후된 국가 인프라를 개선하고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개발 사업을 추진중이다. 무바라크 정권이 붕괴된 주요인이 경제위기에 따른 생활고였기 때문에 새 정부는 인프라 투자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집트 정부는 국영철도 시스템 개선 사업에 3억3000만달러, 카이로지하철 4호선 사업에 4억6200만달러, 3호선 사업에 12억달러 등 총 19억9200만달러(2조19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경제침체에 신음하던 브라질은 경기부양에 팔을 걷었다. 브라질 정부는 1000억헤알(56조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를 추진중이다. 경기부양책에는 900억헤알 규모의 도로·철도망 확충과 100억헤알 규모의 3개 항만 건설이 담겨져 있다. 브라질 정부가 과감한 재정지출에 나서는 것은 유럽 재정위기의 여파로 성장세가 눈에 띄게 주춤해졌기 때문이다. 지난 2010년 7.5%를 기록했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난해 2.7%로 주저앉았고 올해는 2%도 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전세계 연기금과 투자자금도 불확실성이 높은 부동산·주식시장, 수익률이 낮은 채권시장 대신 인프라 투자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이미 미국 국채 대안으로 인프라 사업에 상당한 투자를 실시했다. 일본 기업연금과 민간 보험회사도 태국 항만 프로젝트에 공동투자하는 등 세계 유수의 인프라 투자 운용사들이 신흥국에 눈길을 돌리고 있는 등 전세계는 지금 인프라 투자 열풍에 빠져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