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포브스지 시니어 칼럼니스트이자 통신 전문가인 로슬린 레이튼(사진) 덴마크 올보르 대학교 교수는 20일 방송회관에서 열린 ‘망사용료 정책과 입법:이슈 담론화와 여론 형성’ 공동 세미나에서 “이것은 전 세계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초국가적 행동주의’라는 전략의 일부”라고 말했다.
초국가적 행동주의란 정치를 재편하고 한 국가의 규범이나 관습을 글로벌 기준으로 바꾸고 싶어하는 개인, 기업 및 비영리단체의 움직임이다. 최근에는 클릭 한 번으로 온라인 상에서도 손쉽게 행동주의에 동참할 수 있다. 로슬린 교수는 “흥미로운 것은 기업이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 지지행위와 정치행동주의가 결합했다는 사실”이라며 “한 개인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사람들을 부추겨 특정한 의견을 주장하도록 만들어 궁극적으로 회사가 이익을 얻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로슬린 교수는 특히 포드 재단이나 조지 소로스가 설립된 오픈 소사이어티 파운데이션 등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넷플릭스 등의 주식으로 구성된 기금으로 운영하는 비영리재단이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기업 가치 증가를 위해 온라인 상에서의 행동을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들은 또 한국의 오픈넷과 같은 비영리 단체에 기금을 지원하는 경향이 있다”고도 말했다.
|
로슬린 교수는 이같은 인도의 반(反) 프리 베이시스 운동에는 14억 인구라는 거대한 시장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구글의 여론 몰이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글을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인도의 엘리티 집단을 활용, 성공적인 성과를 거뒀다”며 “현재도 인도 광고시장의 구글의 독점적 지위는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로슬린 교수는 “이러한 정치 활동은 불법은 아니다”라면서도 “문제는 이는 진정한 ‘풀뿌리 운동’이 아니라 하향식 움직임이며 여론조작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해관계가 같은 똑똑한 소수들을 조직해 여론을 만드는 것은 결국 각기 다른 이해를 가진 분산된 다수를 규합하는 것보다 더욱 쉬우며 이는 결국 빈자, 인터넷·디지털 플랫폼 이용이 어려운 사람들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정책 입안자가 이러한 행동주의의 출발지가 어딘지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이슈에 대해 의견을 내지 않는 집단이나 개인에 비춰 보면서 정치 행동주의를 비판적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로슬린 교수는 “시장 내에 있는 행위자 모두가 윈윈하는 것이 결국 핵심”이라며 “구글은 지금 그 어느 때보다 한국의 망 이용대가를 지불하고도 남을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고, 전 세계가 구글이 망 이용대가를 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