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관계자는 27일 기자들과 만나 “9.19 군사합의에 따라 파기했던 11개 GP에 관측소(OP)로 추정되는 구조물을 만들고 있는 것이 전 지역에 걸쳐 식별됐다”면서 “24일부터 이곳에 중화기를 반입하고 주·야간 경계근무 등의 활동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선언’에 따라 DMZ의 평화지대화 실현을 위한 조치로 남북 군 당국은 GP 철수를 추진했다. 시범적으로 남북 간 GP 거리가 1㎞ 이내에 있는 곳 11개를 우선 없애기로 했는데, 이중 1곳은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을 보존키로 했다.
|
또 GP에 중화기를 반입하는 장면도 목격됐다. 북한군은 GP 파기 후 병력과 장비를 철수시켰지만, 현재 경계호를 만들어 무반동총기를 배치했다. 야간에 경계병력도 배치돼 있는 모습도 포착됐다. 이와 함께 해안포 개방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군 관계자는 “기존에는 평균 1개소에 1~2문 정도의 해안포가 개방돼 있었지만, 지금은 많이 늘었다”면서 “개소 당 10문 이상, 기존 대비 몇 배씩 많아졌다”고 전했다.
북한은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한 상응조치로 우리 정부가 22일 9.19 군사합의 일부 조항의 효력을 정지하자 23일 합의 전면 폐기를 선언했다. 그 직후 이같은 동향이 식별되고 있는 것이다. 군사합의 파기 선언 후속 조치로 최전방 지역의 군사적 긴장감을 높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
한편 군 당국은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의 경우 궤도 진입에 성공해 현재 정상적으로 지구 주위를 돌고 있어 2016년 2월 궤도 진입 후 며칠 뒤 고장난 ‘광명성-4호’와 비교해 기술적 진전을 이뤘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북한의 위성 사진 촬영 주장에 대해선 궤도 진입 후 전력화까지 4~6개월 정도 소요된다는 점을 들어 보여주기식 선전으로 평가했다. 북한은 지난 21일 밤 쏘아올린 군사정찰위성을 통해 한반도에 이어 미국 하와이까지 촬영했다고 주장하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이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