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지금의 글로벌 시장 경쟁은 특정 나라와 특정 기업 간 경쟁이 아니고 그 기업을 백업해주는 협력 업체뿐 아니라 한 분야의 생태계 클러스터 대 클러스터의 집합적 경쟁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정부의 클러스터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제시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 4월 윤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당시 찾았던 보스턴 클러스터를 모델로 삼아 ‘한국형 클러스터’ 육성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윤 대통령은 보스턴 클러스터의 성공 전략을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보스턴 클러스터는 MIT(메사추세츠공대)라고 하는 공학 기반만 갖고 된 것이 아니라 공정한 시장 질서와 그에 기반한 공정한 보상체계가 자리 잡고, 여기에 공학, 의학, 법률,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최고 인재들이 모이게 만든 것”이라며 “이들의 협력체계에 의해 세계 최고의 첨단기술들이 계속 쏟아져 나오고 미국을 세계 최강국으로 만든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보스턴에 가서 보셨겠지만, 어느 한 공간에다 연구소, 대학, 투자기관 등을 공간적으로 집합 배치 시킨 수준이 아니고 유기적으로 밀접하게 연결시키면서 기술개발과 가치 창출이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보스턴 클러스터와 다르파(DARPA·국방고등연구계획국)을 방문했을 당시 생각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실리콘밸리든 MIT든 보스턴이든 정부가 선도적으로 돈을 대고 어느 단계를 지나면 민간 투자가 모이는 걸 알 수 있다”며 “결국 우리 정부가 예산 5%정도 R&D(연구개발) 예산을 갖고 있는데, 이런 데에 돈을 잘쓰느냐 하는 게 유능한 정부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날 회의가 미국 방문시 협의한 한국과 보스턴 간 ‘바이오 동맹’의 후속 방안 마련을 위한 자리인 만큼 MIT, 서울대병원 등의 연구개발 협력 구체화도 주문했다.
그러면서 “경제위기는 생산성 향상으로 극복해야 하는데 생산성 향상은 과학기술 밖에 없다”면서 “우리가 갈 길이 바로 그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