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DB금융투자 "금통위 핵심, 美와 다른 韓 장기 펀더멘탈 평가"

하상렬 기자I 2023.10.19 15:27:06

"낮아지는 잠재성장…한국 장기 점도표 인하"
"금리 동조화 장기화 땐 국내 펀더멘탈 악영향 커"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9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한 가운데, 시장에선 ‘한국의 장기 점도표가 인하’에 주목하는 시각이 제시됐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위원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점도표에서 2024년과 ‘longer run’ 금리를 인상함으로써 포워드가이던스를 통해 장기금리 상승을 바랐고, 실제로 유발했던 반면 한은은 이번에 정반대로 반응했다”고 밝혔다.

문 연구위원은 “이번 금통위의 핵심은 미국과 다른 한국의 장기 펀더멘탈 평가”라며 “장기금리는 장기 물가와 성장률이 결정하므로 이는 한은의 장기 금리에 영향을 주는 포워드가이던스라고 확대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날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나라 중장기 금리가 미국 금리에 따라 올라가는 것이 고민”이라며 “우리나라는 10~20년 시계열로 보면 인구고령화로 잠재성장률이 떨어지고 중립금리가 떨어질 수 있다. 선진국은 중립금리가 오르고 우리는 떨어지면 선진국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문 연구위원은 “미국과는 다른 상황에서 한국 장기금리의 급등은 적절치 않으며 지금과 같은 금리 동조화가 장기화되면 국내 펀더멘탈에 악영향이 지대하다”며 “결과적으로 원화 수익률 곡선의 플래트닝을 합리화시키는 중앙은행의 발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향후 기준금리 방향에 대해 이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중 다른 목소리를 낸 1명의 금통위원에 주목했다. 문 연구위원은 “기존 추가 인상 유지론에서 벗어나 유연성을 강조하며 새로이 등장한 1명 금통위원의 반란이 의미가 깊다”며 “중동 정세로 인한 유가 급등 리스크에 통화긴축으로 대응하는 것이 교과서적임에도 새로운 접근방식을 택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자본시장이 발달해 장기조달 위주인 미국과 달리 조달 구조가 단기인 미국 외 대부분 국가는 기계적으로 미국 통화정책을 따라가면 위험하다”며 “결과적으로 고금리는 경제에 구조적 상흔을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연구위원은 글로벌 채권시장의 수급이 붕괴한 상황이라고도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국채 10년물 금리 5.3%를 1차 저항선으로 지정했다. 그는 “한은 평가에도 시장 금리 움직임이 이를 따를지는 미지수”라며 “미국채 금리 급등과 더불어 국내 채권시장에서도 수급의 구조 자체가 변했기 때문으로, 개인 외 채권 매수 주체는 소멸해 금리 방향성이 곧 수급이 되는 고도의 변동성이 단기뿐 아니라 중장기 시계에서 존재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