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준위 간사인 김영진 의원은 이날 당대표 회의실에서 열린 첫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문재인 정부 2기를 강력하게 뒷받침할 집권여당 지도부 구성을 잘 준비해서 나가겠다는 큰 취지를 공유했다”며 “기본적으로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에게가 큰 원칙”이라고 세칙 논의 방향을 설명했다.
김 의원은 “권리당원들이 많이 입당한 환경을 잘 반영하고 그분들의 의견이 당대표 선출 과정에 반영되게 잘 준비한다는 게 방향”이라며 “두 번째는 탄핵 대통령 선거과 지방선거 이전에 결정된 강령은 민주당 가치와 정책을 다듬어서 새로운 시기와 변화된 상황에 맞는 방향으로 만들어나가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권역별 최고위원제는 폐지하기로 의견일치를 본 것으로 확인됐다. 또 당대표와 최고위원 선출은 순회경선이 아닌 원샷경선으로 8월 25일 당일 한 번에 끝내기로 했다.
다만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선출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와 ‘대표선거 4명 이상 출마 시 3명으로 컷 오프’ 등은 오는 29일 회의에서 추가논의를 거쳐 결정할 방침이다. 또 전당대회에서 대의원·권리당원 투표 비율을 85%로 하고 국민·일반당원 선거인단 투표 비율을 15%로 하는 현행 당규 관련, 권리당원 비율을 어느 정도로 반영할지도 같은 날 회의에서 결정할 예정이다.
김 의원은 “지난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45%·권리당원 30%였던 것이 85%로 늘었다”며 “늘어난 비율을 권리당원으로 반영하는 게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전했다.
4선 의원인 오제세 전준위원장은 회의 비공개 전환에 앞서 모두발언을 통해서는 “이번 전당대회는 친문(문재인)과 비문, 계파라는 말이 나오지 않고 비전과 정책을 통해 당원 중심·국민 지지를 받는 훌륭한 전당대회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전당대회 관련 당헌·당규 제반사항이 공정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오 위원장은 “이번 전당대회는 우리 문재인 정부 2~3년 차를 책임지고 21대 총선 공천과 승리를 견인해야 할 지도부를 구성하는 막중한 전당대회가 될 것”이라며 “어느 때보다 공정성을 생각해서 화합과 단합의 전당대회, 국민이 바라는 책임 여당의 지도부가 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