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크롱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제75차 유엔총회에서 화상 연설을 통해 세계 정상들을 향해 보다 강력한 다자주의를 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 중국의 경쟁으로 지구촌을 쪼그라들게 만들 순 없다”며 “우리의 미래를 결정하는 것은 각국의 선된 의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두 강대국의 갈등에서 비롯된 위기와 붕괴된 협력 체계를 재건해야 하며, 이는 전 세계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유엔 회의는 코로나19 여파로 화상으로 진행됐다. 마크롱 대통령의 연설은 사전 녹화된 영상이 방영된 것이었다.
마크롱 대통령은 영상에서 “더 이상 눈 감고 있을 수 없다. 우리는 ‘합의’라는 표면 아래 깊은 분열을 숨긴 채 최소한의 공통 분모만을 약속하는 지금의 다자간 협력에 만족해선 안 된다. 우리에겐 여전히 활성화할 수 있는 부분들이 있다. 우선 순위를 어떻게 정하고 선택할 것인지, 또 어떠한 동맹을 구축할 것인지를 (우리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국제적 도전 과제들을 다루기 위해 새로운 현대적 합의가 필요하다. 이를 외면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마크롱 대통령은 곧바로 △대량살상 무기 확산 방지 및 테러리즘과의 싸움 △평화와 안정 △공동 유산 및 기후위기에 대한 대응 △새로운 현대적 (다자주의) 합의 △국제 인권법과 기본권 존중 등 세계 평화를 위한 5가지 우선 순위 과제들을 제시했다.
특히 대량살상 무기 확산 방지와 관련, 마크롱 대통령은 한반도 정세를 언급하며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촉구했다. 그는 “이는 한반도의 영구적인 평화와 정치적 해법을 도출해내기 위한 유일한 방법일 뿐 아니라 국제 평화와 안보, 역내 안정 및 방위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과 협상을 시도하는 미국의 노력을 지지해왔다. 아직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이니셔티브는 중요했다”며 “우리는 여전히 구체적인 행동에 나서겠다는 북한의 약속을 기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북(對北) 정책에 있어서는 미국을 추켜세웠지만, 대이란 정책과 관련해선 쓴소리도 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이란 제재 복원과 관련해 “우리는 이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놓고 타협하지 않을 것이다. 미국은 합의를 떠났으므로 이를 활성화시킬 위치에 있지 않다”며 “(미국의 움직임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통합과 온전성을 훼손하고 역내 긴장을 추가로 높일 위험이 있다”고 꼬집었다.
또 “수년간 진행된 최대 압력 전략은 실패했다. 이란의 불안정 조장 행위를 끝내지 못했고 이란이 핵무기를 확보하지 못하도록 없도록 보장할 수도 없다”며 “이에 따라 프랑스는 독일, 영국과 함께 2015년 합의의 전면 이행을 계속 요구할 것이며 이란의 위반 역시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국제 인권 문제와 관련해선 중국을 강력 비판했다. 그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사례를 거론하며 유엔이 대표부를 파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인간의 기본권이란 누군가 간섭으로 반대할 수 있는 서구식 사상이 아니다. 이는 유엔 회원국이 자유롭게 서명하고 존중하겠다고 동의한 문서에 새겨진 원칙”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