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맞춤형 지원 강화한다

함지현 기자I 2025.03.27 11:15:00

하루 4.8시간 가족 돌봐…평균 돌봄 기간 6.72년
시, 서울런 등 연계서비스 158개로 확대
민간기관 협력 강화… 지원대상 집중 발굴도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서울시는 공공·민간 자원 연계, 대상자 발굴 등을 통해 가족돌봄청년을 집중지원한다고 27일 밝혔다. 가족돌봄청년이란 장애, 정신·신체 질병 등의 문제를 가진 가족을 돌보는 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을 말한다.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2023년 8월부터 1년간 ‘가족돌봄청년 지원 사업’에 참여한 206명을 조사한 결과, 주당 돌봄 시간은 33.6시간(일평균 4.8시간)이었다. 응답자의 62.6%는 가족을 ‘거의 매일’ 돌본다고 답했다. 평균 돌봄 기간은 6.72년으로 5년~10년이 37.4%, 2~4년 사이가 26%였다.

가족을 돌보는 과정에서 가장 힘든 점은 경제적 어려움(90.8%)을 꼽으며 가장 필요한 도움은 ‘생계 지원(93.2%)’이라고 답했다.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뒤 ‘돌봄 부담이 감소(또는 매우 감소)했다’는 응답이 53.2%였으며, 68.4%는 ‘심리·정서적 안정에 도움(또는 매우 도움)됐다’고 답했다.

시는 이번 조사 결과 및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돌봄청년 각각의 어려움을 해소해 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디딤돌소득·서울런 등 기존에 70개였던 공공 서비스를 올해부터는 158개로 확대, 연계해 주고 돌봄 경험 공유 및 긍정적 정서 형성을 도와줄 가족돌봄청년 네트워크, 자기계발 프로그램 등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또 생계·주거·학습·의료 등 각 분야별 가족돌봄청년 지원 사업을 함께해 온 7개 업무협약 기관과 더불어 청년층에게 선호도 높은 금융·심리 상담 등 관련 민간기관과의 협력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서울시는 자신이 ‘가족돌봄청년’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감안, 전화 상담뿐 아니라 온라인 창구도 상시 운영하는 한편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조사와 연계해 상·하반기 1회씩 대상자를 집중적으로 찾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청년뿐 아니라 가족을 돌보는 누구나 돌봄서비스가 궁금하다면 안심돌봄120으로 연락하면 도움받을 수 있다. 고난도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 등의 경우에도 대상자별로 이용할 수 있는 돌봄 종류와 신청 자격·절차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한창 미래를 그리고 꿈을 향해 달려나가야 할 시기에 가족을 돌보며 ‘가장’ 역할을 하느라 자신을 챙기지 못하는 청년이 없도록 발굴부터 지원까지, 가족돌봄청년을 위한 정책을 더욱 꼼꼼하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