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대화상’은 조선 중기의 화가 한시각(1621~?)이 남긴 포대도 중 현존하는 5건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이자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작품이다. 1655년 을미통신사 수행 당시, 일본 측 요청으로 ‘사행록’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다.
‘원령희초첩’은 시·서·화에 능해 ‘삼절’이라 불렸던 이인상의 뛰어난 글씨와 사의적인 화풍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운미난첩’은 근대 시기 한국화단에 큰 영향을 미친 민영익이 1895년 을미사변 이후 중국 상해에 망명한 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망명 당시 중국의 서화가들과 교유하며 묵란화를 자기만의 시선으로 해석한 이른바, ‘운미란’ 72점으로 구성돼 있다.
|
3건 모두 제작 당시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추정돼 본래 장황을 재사용했다. 결손된 부분은 유물의 바탕재와 최대한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여 보존처리했다.
이번 보존처리로 유물의 오염도가 현저히 줄었다. 이외에 문화재 각각 상태와 크기를 고려해 고문헌, 족자를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해 만든 보호용 도구인 굵게말이축과 보관상자를 제작하여 보관상의 안정성도 높였다.
서화류는 건식처리와 응급처리를 주로 했고 도자류는 손상된 보관상자를 수리, 제작하고, 내부 충진재를 새로 제작한 솜포로 교체해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는 예방적 조치를 했다.
|
문화재청과 재단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조선 후기 서화 수장가였던 김광국(1727~1797)의 ‘석농화원’ 중 일부로 알려진 ‘해동명화집’ 1건 60점과 초간본으로 추정되는 권우(1363~1419)의 ‘매헌집’ 5책 1권에 대한 보존처리와 인문학적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