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회장은 대통령비서실 보건복지비서관, 보건복지부 차관 등을 역임한 관료 출신으로 지난 2010년 6월 회장으로 선임됐다. 지난 2012년 재선임, 2014년 3연임이 결정되면서 71년 제약협회 역사상 4번째 장수 회장의 길을 걸었다.
지난 1945년 설립된 제약협회는 7대 전규방 회장이 최장 기간(1957년 10월~1967년 8월) 역임했고 이경호 회장을 포함해 18대 김정수 회장(8년 8개월), 8대 강중희 회장(8년 5개월) 등 4명만이 5년 이상 회장을 지냈다.
이 회장은 2010년 국내 제약업계가 혼란에 빠졌을 당시 긴급하게 투입된 구원투수다. 2010년 이 회장이 선임되기 직전 어준선 안국약품 회장이 제약협회장을 역임했다. 어 회장은 정부의 연이은 제약산업 규제 움직임에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며 자진 사퇴했다.
당시 제약업계는 병원이 약을 싸게 구매하면 인센티브를 받는 ‘시장형실거래가’라는 새로운 약가제도에 강력하게 반발했지만 결국 백기를 들었다. 제약사에 몸 담고 있는 인사가 제약협회장을 맡으면 정부를 상대로 한 대외 로비력에 한계가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
이때 제약협회는 ‘제약사 출신 회장-외부 인사 출신 부회장’체제에서 ‘상근회장제-이사장’ 체제로 정관을 변경한 이후 이 회장을 신임 회장으로 선임했다.
이 회장은 지난 5년 8개월 동안 혼란스러운 업계 분위기를 추스리고, 국내 제약산업에 대한 불신을 걷어내는 데 일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0년에는 제약업계 전반에 걸쳐 불법 리베이트 관행이 끊이지 않았고 정부로부터 “신약개발에 소홀한 채 불법적인 영업활동으로 이익만을 챙긴다”는 불신을 받았다.
이 회장은 지속적으로 리베이트 자정 결의를 공표하고 리베이트 의심 업체를 경고하는 등 투명한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이 회장의 재임 초기인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불법 리베이트 혐의로 적발된 업체는 20곳에 달했지만 2013년 이후에는 2곳에 불과했다.
이 회장은 내부적으로는 상위제약사와 중소제약사간의 갈등을 해소하는데 주력했고 대외적으로는 복지부, 식약처 등에 제약업계를 대변한 정책 건의에 매진했다. 지난 2014년 시장형실거래가의 수정을 이끌어낸 것은 최근 제약협회의 대표적인 대외활동 성과로 평가받는다.
최근 한미약품(128940)을 비롯해 국내제약사들이 왕성한 신약 효과를 내면서 제약업계의 위상이 높아진 것도 고무적이다. 이 회장은 제약업체 CEO들에 수시로 연구개발(R&D)과 글로벌 진출을 독려해왔다.
다만 지난 2012년 일괄 약가인하를 비롯해 사용량 약가연동제 등 정부의 반복된 약가인하 정책에 반대 목소리를 관철시키지 못한 것은 아쉬운 대목으로 꼽힌다.
업계 한 관계자는 “몇 년 전 만해도 정부는 제약사들을 대화 상대로 인정하지 않을 정도로 제약업계에 대한 불신이 팽배했다”면서 “최근에서야 제약업계가 정부를 상대로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도 제약협회의 가장 큰 수확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한편 제약협회장 선임은 제약사 CEO들로 구성된 이사회에서 후보를 추대하고 정기총회에서 의결하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 관련기사 ◀
☞하락장에 커버리지 개시 급감… “발굴할 종목 없어”
☞바이오업체들 "세제혜택 확대·허가요건 완화" 한 목소리(종합)
☞이관순 한미약품 사장 "글로벌제약사와 똑같은 방식으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