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인상에 하반기 입주 폭탄까지…숨죽인 주택시장

김인경 기자I 2017.03.16 13:08:50

美 금리 인상 올해 두차례 더 남아
매수 심리 위축 불가피
“무리해 매수하기보다 조정 지켜봐야…경매시장도 주목”

[이데일리 김인경 원다연 기자] 미국이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올리자 국내 건설·부동산업계의 긴장감도 한층 커지고 있다. 지난 2월 주택 거래량과 전·월세 거래량이 회복세를 나타내며 올해 시장 분위기가 풀릴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지만 “역시나 어렵겠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미국 금리 인상에다 5월 대통령 선거와 이에 따른 주택 정책 변화, 올 하반기 입주량 증가까지 맞물리면 부동산 매수심리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2월 들어 서울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이 꿈틀대는 등 부동산시장이 활기를 되찾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적지 않았는데 이번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은 격”이라며 “점진적으로 시장이 가라앉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2월 주택 매매 거래량은 지난 1월보다 8.4%, 작년 2월보다 7.1% 증가한 6만 3484건으로 나타났다. 전·월세 거래량 역시 15만 8238건을 기록하며 1월보다 45.1%, 지난해 2월보다 12.7% 올랐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실장은 “미국 금리 인상이 당장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기준금리와 별개로 금융권의 가산금리가 올라가는 점을 감안하면 주택 담보대출과 중도금 집단대출 금리도 계속 상승해 가계에 적잖은 부담을 안겨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게다가 올해는 5월 9일 조기 대통령 선거를 치른 후 차기 정부 출범으로 부동산 정책 기조 변화가 예상되는데다 하반기 입주 물량도 만만치 않다. 야권의 유력 후보들이 부동산 보유세 강화와 전·월세 상한제 도입 등을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올 하반기 입주 물량은 상반기(14만 4503가구)의 1.6배에 이르는 22만 5256가구로 집계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 전문위원은 “국내 시중금리와 대출금리 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주택 공급 과잉과 차기 정부 정책 불확실성으로 주택 수요가 줄고 시장 관망세가 짙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내 집 마련 시기는 언제가 좋을까. 전문가들은 여러 악재와 불확실성이 산재해 있는 만큼 당장 무리해서 주택을 살 필요는 없다고 조언한다.

김덕례 주택정책실장은 “금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자본”이라며 “은행권이 건전성 측면에서 대출 조건을 강화하는 가운데 변동금리나 일시 상환 등 무리한 조건을 받으면서까지 대출을 받아 내 집 마련에 나설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투자’보다는 ‘조정’이 이뤄지는 시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싼 물건을 잡을 수 있는 경매시장을 노려볼 만하다”고 말했다. 시장이 침체한 상태에서 금리가 오르면 연체율도 높아져 이른바 ‘떨이 시장’으로 나오는 물량이 늘어나는 만큼 경매시장으로 눈을 돌려 싼 물건을 노려보는 것도 괜찮다는 얘기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 연구위원은 “올 하반기에 입주량이 늘면 전세시장이 안정되고 집값도 추가 하락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며 “주택 공급 누적에 따른 가격 조정이 바닥을 다지는 내년 하반기까지 느긋하게 기다리는 것도 괜찮다”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매맷값 추이. [자료=KB주택가격동향]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