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정부가 문학 진흥을 위해 힘을 쏟는다. 창작자들이 안정적으로 창작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독자들이 보다 편하게 문학을 즐길 여건을 만든다. 통일 시대를 대비해 남북간 문학 교류와 이산 문학을 위한 정책도 추진한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룸에서 제1차 문학진흥기본계획에 대한 브리핑을 열고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8월 시행된 ‘문학진흥법’에 따라 5년 단위로 세우는 1차 계획으로 문학계 의견을 반영해 수립했다.
문학진흥기본계획의 비전은 ‘사람과 세상을 잇는 문학, 문학을 통한 가치 있고 풍요로운 삶의 실현’이다. ‘문화비전 2030-사람이 있는 문화’라는 문체부 문화정책 기조에 따라 정해졌다. ‘안정적 창작기반 마련 ’ ‘문학을 쉽게 향유할 수 있는 환경 조성’ ‘한국문학의 세계적 확산’이라는 3대 목표 아래 15개 과제를 4개 전략과제(문학 창작·향유·해외진출 및 문화교류·진흥 기반시설 분야)로 묶어 추진한다.
◇도서관·작은 서점 위한 사업 추진
문학창작 지원과 관련해서는 지난해 블랙리스트 사태로 부당하게 폐지·변경된 ‘우수 문예지 발간 지원사업’과 ‘아르코창작 지원금 사업’을 2014년 규모로 복원한다. 올해 처음 시행한 ‘도서관상주작가 지원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2022년까지 70개 도서관에 작가 70명이 상주해 문학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작은 서점 살리기 작가 파견 지업사업’도 내년부터 추진한다. 2022년까지 50인의 작가 150개 서점에 수혜가 돌아가도록 할 계획이다. 2014년 세종도서로 통합된 우수문학도서 선정·지원 사업도 통합 이전으로 복원하고 문학계가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독자들의 문학 향유를 위해 일상 속에서 문학을 즐기는 환경 구축에 나선다. 사이버 문학광장을 운영해 멀티미디어형 문학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문 창작자와 비전문가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비평 공간을 운영한다.
‘문학진흥법’ 시행을 계기로 지난해부터 열리고 있는 문학주간 행사는 문학단체·문학인·지역문학관·시민 모두가 참여하는 국민축제로 키운다. 국민의 생애주기별 문학활동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유아 대상의 ‘씨앗문학’ 사업과 청소년 대상의 방과 후 문학창작교실과 문학독서교실도 활성화한다.
한국 문학의 해외 진출 및 교류도 강화한다. 한국 문학 해외 진출 전담기관인 한국문학번역원의 조직과 지원체계를 정비하고 우리 문학의 세계화 전략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한국문학 외국어 번역 사전’도 제작해 온라인으로 제공한다. 한국문학 디지털 도서관 웹사이트 콘텐츠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서비스를 강화한다.
◇국립한국문학관 예정대로 2021년 건립
통일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이산 문학 활동과 남북 문학교류 사업에도 힘쓴다. 재외 동포 문인들과 그들의 문학 활동, 해외 이주민·탈북민들의 문학 창작과 향유를 지원한다. 남북 대표 문학단체 간 교류행사와 같은 단순 소규모 교류사업부터 점차 대규모 교류사업으로 확대하고 북한 자료 아카이브 사업도 추진한다.
문학진흥 기반시설도 구축한다. 특히 부지 선정과 관련해 논란을 겪고 있는 국립한국문학관은 당초 예정대로 2021년 건립을 목표로 현안 해결에 나선다. 현재 잠정 부지로 결정한 용산을 놓고 서울시와 갈등을 빚고 있다. 문체부는 서울시를 비롯해 유관 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부지 선정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역문학관을 지역별 문학 진흥의 구심 공간으로 키워나갈 계획이다.
이날 발표한 계획은 지난달 8일 문학진흥기본계획 공청회에서 공개한 계획안과 큰 틀에서 달라지지 않았다. 이우성 문체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은 “초안과 대동소이하지만 국립한국문학관 설립과 관련한 협의체를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겠다는 내용과 이산문학과 남북문학 교류와 관련된 부분이 보다 추가됐다”고 설명했다.
이 실장은 “이번에 발표한 제1차 문학진흥기본계획은 약 1년 4개월에 걸쳐 문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하고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통해서 마련된 문학 분야의 첫 번째 종합 기본 계획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면서 “내년부터는 이 계획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구체적인 방안을 담은 시행계획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