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출연 기관인 국토연구원은 지난해 12월 발간한 연구 ‘도시는 과연 관용적인가 - 이민자에 대한 도시-농촌 주민의 태도 비교’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
한국행정연구원이 해마다 실시하는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이민자·노동자를 사회구성원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응답 비율은 2013년 약 9.8%에서 2022년 약 10.0%로 크게 바뀌지 않았다. ‘국내 거주 외국인을 신뢰할 수 없다’는 응답 비율 역시 2013년 약 86.1%에서 2022년 약 86.6%로 유지되고 있다.
10여년 동안 외국인 이주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기존 주민들이 갖고 있는 이같은 배타적 인식의 변화를 위한 정책적 대응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특히 기존에 부족했던 개인적 특성 외에 환경적 특성이 이주민에 대한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위해 이번 연구가 진행됐다.
연구는 여성가족부가 3년마다 실시하는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이 조사는 전국 만 19~74세 성인 5000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수용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 가운데 19~64세 응답자의 응답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진행했다. 동 지역에 거주하는 도시 주민과 읍면 지역에 거주하는 농촌 주민으로 응답 결과를 분류해 최종적으로 4360명의 표본(도시주민 84%, 농촌 주민 16%)이 분석대상이 됐다.
이민자와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불편함을 느끼는 정도 역시 도시 주민이 농촌 주민보다 더 컸다. 사회경제적 여건을 통제하더라도 도시 주민의 다문화 수용성은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농촌 주민보다 낮았다.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는 국내의 이민자에 대한 인식 개선 노력이 지역별로 차별화된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점을 지적한 뒤, 향후에는 농촌 주민보다 도시 주민을 대상으로 유이민자 유입이 가져올 긍정적 변화를 더 적극적으로 공유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더 나아가 지역사회 변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위해 이민자 거주지역 환경개선과 상호교류 활동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