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도발 중단과 관련, 중국 역할론을 강조하면서 압박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최근 북한이 전례 없는 빈도로 도발을 지속하며 핵·미사일 위협을 고조시키고 있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자 인접국으로서 중국이 더욱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인터뷰에서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 책임을 이행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역내 군사적 자산 유입으로 이어질 것이라고도 밝혔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다만 한미가 한반도에 전략자산 배치를 강화키로 한 가운데 윤 대통령은 현재 2만8500명 수준인 주한미군 규모에는 변화를 기대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긴장이 지속되는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에 대해서는 “대만의 현 상황을 일방적으로 바꾸려는 어떠한 시도에도 단호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또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한다면, 이는 지극히 현명하지 못한 일”이라며 “어떤 종류든 북한이 새로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전례없는 공동대응에 맞닥뜨릴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는 북한 핵실험시 미국과 일본 등 우방국과의 긴밀한 공조 관계를 바탕으로 강력한 대응에 나설 것임을 시사하는 경고 발언으로 해석된다.
한편 윤 대통령은 지난 23일 테슬라 및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와 화상 면담을 한 것에 대해서는 테슬라가 계획하는 아시아 지역 완성 전기차 생산기지 ‘기가팩토리’(Gigafactory)의 한국 유치 의지를 피력했다.
윤 대통령은 “만일 테슬라, 스페이스X 등 기업이 기가팩토리 건설 등을 포함한 한국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면 한국 정부는 투자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슬라 유치를 위해 어떤 제안을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이들 특정 기업에 이점을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접근을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국이 고도로 숙련된 노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국 기업들이 예상하지 못한 재정적·규제적 측면의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국제적 기준에 맞춰 각종 규정을 정비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주요 현안인 화물노조 집단운송거부 등 파업 사태와 관련해서는 “한국에서 전투적인 노동조합 문화가 심각한 문제”라며 “법치주의에 입각해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