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6년 내'사물인터넷' 30조 원으로 키운다

김현아 기자I 2014.05.08 16:00:01

2020년 30조 원으로 국내 시장 규모 키운다
세계 최고 인프라와 단말기술로 사물인터넷 시대 주도
센서·부품 지원하고, IoT는 보안 내재화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박근혜 정부가 초연결 디지털 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장을 크게 키우기로 했다.

전두환 대통령 때는 PC통신과 초고속인터넷, 노태우 대통령과 김영삼 대통령 시절에는 국제·시외전화 경쟁 도입과 CDMA 디지털 휴대전화 세계최초 상용화, 노무현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 임기에는 3G와 4G 이동통신상용화가 주요 성과였다면, 박근혜 정부는 여러 산업이 융합하는 사물인터넷을 ICT 분야 스타 아이템으로 정한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8일 국가 최상위 정보통신 의결기구인 ‘정보통신전략위원회(위원장 정홍원 국무총리)’의 첫번째 회의를 열고 ‘사물인터넷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사물인터넷이란 사람, 사물,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돼 정부가 생성·수집·공유·활용되는 기술과 서비스를 말한다. 지금은 주로 사람이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을 통해 인터넷과 연결하고, 사물이 연결된 것은 2013년 기준 세계적으로 26억 개에 불과하다. 하지만 시장조사업체인 가트너에 따르면 2020년이 되면 260억 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사물인터넷을 대민 서비스 혁신(공공)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산업), 안전하고 편리한 삶(개인) 등 국가 사회 현안 해결의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2013년 2.3조 원인 국내 IoT 시장 규모를 2020년까지 30조 원으로 늘리는 게 목표다.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의 목표(출처: 미래부)
◇왜 사물인터넷인가…세계최고 인프라와 단말기술

사물인터넷은 입는 컴퓨터(웨어러블)나 원격진료(헬스케어)가 대표적이다. 통화기능을 탑재한 ‘갤럭시기어’는 갤럭시S와 통신하고, 원격진료를 위한 스마트폰 앱은 병원 내 진료기록차트 등과 연결된다. 건물에 센서를 붙여 전력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력관리나 자동차를 인터넷으로 연결해 긴급구난 자동전송기능이나 무인자율주행서비스를 구현하는 것도 IoT 영역이다.

이 시장에는 미국, 독일, 중국 등도 ‘제조업 본국 회귀전략’ 등의 이름으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구글과 오라클, 시스코 등 글로벌 기업들도 적극 뛰어들고 있다.

최재유 미래부 정보통신방송정책실장은 “세계 최고의 ICT 네트워크 인프라와 단말 기술을 가진 우리나라는 사물인터넷을 선도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국가”라고 설명했다.

사물인터넷은 성장 정체에 시달하는 국내 통신기업들에도 최대 화두다. 인구수보다 많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있는 우리나라에서 사물인터넷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센서부품 경쟁력 높인다…IoT 제품에는 보안 내재화

정부는 우리나라가 다소 뒤떨어진 소프트웨어와 센서, 부품과 디바이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오픈소스 하드웨어 개발과 전문 부품 기업을 육성키로 했다. 산업부는 센서산업 발전계획에 따라 2015년부터 주력산업에 적용되는 첨단센서 상용화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미래부는 시범 및 확산사업을 주도한다. 미래부는 트래픽 폭증에 대비해 2013년까지 1GHz 폭 이상의 추가 주파수를 확보하고, 저전력·장거리·비면허 통신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특히 정부는 IoT 제품과 서비스는 기획단계부터 보안을 내재화하도록 해서 개인정보 유출 위험에 적극 대응하면서도, 새로운 IoT 서비스에 규제가 걸림돌이 되면 ICT특별법상 신제품·서비스에 대한 임시 허가제를 활용해 지원키로 했다.

최재유 실장은 “1인 개발자도 쉽게 뛰어들 수 있도록 금년 중 IoT 혁신센터를 강남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먼저 구축하고, 전 산업과 융합되는 추세를 고려해 발생가능한 규제 문제는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상시 발굴해 개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요 추진 과제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