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 석유수지’ 내달 양산…코오롱인더, 올해 ‘신사업’ 본격화

김정유 기자I 2021.03.22 15:25:01

2019년 착공했던 반응형 석유수지 양산 ‘목전’
기존 시장에 없었던 고부가가치 소재 ‘주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POM도 추가 투자 검토
작년 주춤했던 실적, 신사업 본격화로 개선 기대

코오롱인더스트리 여수공장 전경. (사진=코오롱인더스트리)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코오롱인더(120110)스트리가 올해 석유화학 신사업을 공격적으로 전개하며 실적 반등을 꾀한다. 6년 간 독자개발한 ‘반응형 석유수지’(HRR)를 내달 양산하며 글로벌 석유수지 시장 2위 업체로 도약할 전망이다. 더불어 고부가가치 플라스틱 소재인 특수목적용 ‘폴리옥시메틸렌’(POM) 사업도 추가 증설을 검토하며 외형 확대를 꾀하고 있는 모습이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이르면 다음달 반응형 석유수지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2019년 11월 여수공장에 설비를 착공한 지 1년4개월여 만이다. 약 500억원이 투자된 해당 설비는 연간 1만3000t의 반응형 석유수지를 생산할 수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본격 양산체제가 구축되면 석유수지로만 연간 7000억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석유수지는 기존의 송진 등의 점·접착부여제수지와 유사한 용도를 가진 합성수지다. 주로 접착제, 잉크, 도료, 고무, 기타 원료에 섞여 점·접착성을 높여준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6년 만에 반응형 석유수지를 독자 개발했다. 반응형 석유수지는 열 반응으로만 작용했던 기존 석유수지와 달리, 공기 중 수분과도 반응이 가능해 접착력과 경화력이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기존 시장엔 없었던 소재로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세계 최초로 개발해 눈길을 모았다.

반응형 석유수지는 내열성과 내구성도 탁월해 실란트, 타이어 등의 제품에 사용될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접착제 등 고성능 산업용 접착제로도 수요가 높아질 전망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기존에도 국내에 연간 20만t 규모의 석유수지 생산체제를 갖추고 있던만큼 반응형 석유수지 설비가 본격 양산되면 미국 엑손모빌에 이어 글로벌 석유수지 2위 업체로도 도약하게 된다.

회사 관계자는 “특히 점차 경량화하고 있는 자동차용 소재로 수요가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반응형 석유수지를 앞세워 고성능·고부가가치 시장을 개척, 선점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사업에서의 외형 확장도 예상된다. 코오롱인더스트리에 따르면 자회사 코오롱플라스틱은 최근 특수목적용 POM 라인 증설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코오롱플라스틱은 2018년 김천에 독일계 화학업체인 바스프와 POM 합작공장을 건설한 바 있다. POM은 내구성이 강해 다용도로 사용되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의 일종이다. 주로 자동차 부품 및 전기전자제품 소재로 쓰인다. 당시 합작투자로 코오롱플라스틱의 POM 생산 규모는 연간 15만t까지 확대됐다.

이번에 검토 중인 증설은 2차 투자 차원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2018년 투자에 이은 2차 증설의 개념”이라며 “현재 증설 자체를 검토하고 있는 건 맞지만 아직 정확한 규모는 확정되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현재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주요 성장동력인 아라미드, 타이어코드, 투명폴리이미드(PI)필름 등의 사업과 미래 성장동력인 수소차 소재 사업 등에 매진하고 있다. 현재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아라미드 사업의 추가 증설과 수소연료전지 소재인 막전극접합체(MEA) 양산 투자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반응형 석유수지, POM 등 전통적인 석유화학 분야에서의 신사업도 함께 전개하며 균형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해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영업이익은 1524억원으로 전년대비 11.8% 감소한 실적을 올렸다. 매출액도 8.4% 빠진 4조361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여파 탓이다. 하지만 올해는 신사업 본격화로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올해 영업이익은 1947억원으로 전년대비 27.7% 늘어나는 등 실적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업체들의 가동률이 높아지면서 타이어코드 수요가 늘고 5G 이슈 등으로 아라미드 판매도 확대될 것”이라며 “반응형 석유수지, POM 등도 전방산업이 자동차·가전 등인만큼 실적 개선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